연번 [8]
2023-12-08 조회수 400

상병 및 POA

상병연번 상병코드 상병명 POA코드 POA코딩원칙 진료과목 내과세부전문과목
3 I48.0 발작성 심방세동 Y 1 내과 순환기내과
4 C83.3 미만성 대B-세포림프종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5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Y 1 정신건강의학과
6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1 내과 내과통합
7 B95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D군연쇄알균 및 장내알균 Y 1 내과
3 D62 급성 출혈 후 빈혈 N 4 산부인과
1 S52.190 요골 상단의 상세불명 부분의 골절, 폐쇄성 Y 1 정형외과
2 W06.2 침대가 관여된 낙상, 학교, 시타 시설 및 공공행정 구역 E 11 정형외과
2 I50.9 상세불명의 심부전 Y 1 내과 순환기내과
3 E87.0 고오스몰랄농도 및 고나트륨혈증 N 4 내과 신장내과
4 E27.4 기타 및 상세불명의 부신피질부전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I25.8 기타 형태의 만성 허혈심장병 Y 1 내과 순환기내과
2 I97.8 달리 분류되지 않은 순환계통의 기타 처치 후 장애 N 4 내과 순환기내과
3 Y84.8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의학적 처치 E 11 내과
4 E11.64 혈당 조절이 되지 않은 2형 당뇨병 N 4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N 4 내과 신장내과
3 I50.9 상세불명의 심부전 Y 1 내과 순환기내과
3 F31.8 기타 양극성 정동장애 Y 1 정신건강의학과
4 I10.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Y 1 내과
5 E87.6 저칼륨혈증 Y 2 내과
1 A04.9 상세불명의 세균성 장감염 Y 2 내과 소화기내과
2 R51 두통 Y 2 신경과
1 O41.0 양수과소증 Y 9 산부인과
2 O68.8 태아스트레스의 기타 증거가 합병된 진통 및 분만 Y 9 산부인과
3 O69.2 탯줄의 매듭 Y 9 산부인과
4 O60.31 자연진통을 동반하지 않은 조기분만, 임신 22주 이상 ~ 34주 미만 Y 9 산부인과
5 O67.9 상세불명의 분만 중 출혈 N 9 산부인과
6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N 9 산부인과
7 Z37.00 단일 생존아, 임신 34주 미만 / E 11 산부인과
1 O80.0 자연두정태위분만 E 11 산부인과
2 O99.6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소화계통 질환 Y 2 산부인과
3 K80.20 폐색의 언급이 없는 상세불명의 또는 담낭염이 없는 담낭 결석증 Y 2 외과
4 O70.0 분만 중 1도 회음열상 N 9 산부인과
5 Z37.02 단일 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~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O66.4 상세불명의 분만 시도의 실패 N 9 산부인과
2 D25.2 자궁의 장막하 평활근종 Y 1 산부인과
3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N 9 산부인과
4 O99.8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기타 명시된 질환 및 병태 Y 1 산부인과
1 O64.0 태아머리의 불완전회전으로 인한 난산 N 9 산부인과
3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1 G72.3 주기마비 Y 2 신경과
2 K25.01 출혈이 있는 급성 위궤양 N 7 내과 소화기내과
3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K76.7 간신증후군 N 4 내과 신장내과
3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N 9 산부인과
4 Z35.5 고령 초임녀 임신의 관리 E 11 산부인과
5 Z37.02 단일생산아, 임신 37주 이상 E 11 산부인과
1 O72.0 제 3기 출혈 N 9 산부인과
2 O80.0 자연두정태위분만 E 11 산부인과
3 Z37.02 단일 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~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O72.1 기타 분만직후 출혈 N 9 산부인과
2 O62.2 기타 자궁무력 N 9 산부인과
3 O82.0 반복적 제왕절개 NOS Y 9 산부인과
4 O34.21 이전의 자궁하부횡절개로 인한 자궁흉터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5 Z37.02 단일 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~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O46.9 상세불명의 분만전 출혈 Y 9 산부인과
2 O60.01 분만이 없는 조기진통, 임신 22주 이상 ~ 34주 미만 N 9 산부인과
3 O24.4 임신 중 생긴 당뇨병 Y 1 산부인과
3 E14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병 NOS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N10 급성 신우신염 Y 1 내과 신장내과
2 B96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Y 1 내과
3 A04.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Y 8 내과 소화기내과
1 J20.5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기관지염 Y 8 소아청소년과
1 C71.0 뇌엽 및 뇌실을 제외한 대뇌의 악성 신생물 Y 1 신경외과
2 K70.9 상세불명의 알콜성 간질환 Y 2 내과 소화기내과
3 R18 복수 N 4 내과 소화기내과
4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N 4 내과
5 Z03.8 기타 의심되는 질환 및 병태의 관찰 E 11 내과
5 I48.0 발작성 심방세동 N 4 내과 순환기내과
6 L89.1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2단계 Y 1 내과
7 R56.8 (의증) (경련성) 발작 NOS N 2 신경과
8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N83.2 기타 및 상세불명의 난소낭(난소 낭종 파열) Y 1 산부인과
2 K66.1 (의증) 혈복강 Y 2 산부인과
5 M48.06 척추협착, 요추부 Y 1 신경외과
6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1 K74.69 간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변증, 상세불명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D64.9 상세불명의 빈혈 Y 1 내과
2 S90.2 발톱의 손상이 있는 발가락의 타박상 Y 1 외과
3 X59.9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을 초래하는 상세불명의 요인에 노출, 상세불명 장소 E 11 외과
1 K35.8 급성 충수염 Y 1 외과
2 I10.9 고혈압 Y 1 외과
3 E14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상세불명의 당뇨병 Y 1 외과 내분비.대사내과
1 K65.8 자발적 세균성 복막염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K70.31 복수를 동반한 알코올성 간경화증 Y 7 내과 소화기내과
3 E14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상세불명의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N18.5 말기신장병 투석중 Y 1 내과 신장내과
2 K05.39 상세불명의 만성 치주염 Y 3 내과
1 I48.9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Y 1 내과 순환기내과
2 K40.90 사타구니 탈장(한쪽) NOS Y 1 외과
1 K31.7 위 및 십이지장의 폴립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D50.0 (만성) 실혈에 따른 이차성 철겹핍빈혈 Y 1 내과
3 T81.0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합병된 출혈 및 혈종 Y 1 내과
1 C18.9 결장의 악성 신생물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T81.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 중의 우발적 천자 또는 열상 N 4 내과
3 Y60.4 내시경검사 도중 생긴 비의도적 절단, 천자, 천공 또는 출혈 E 11 내과
1 D25.2 자궁의 장막하 평활근종 Y 1 산부인과
4 O68.9 상세불명의 태아스트레스가 합병된 진통 및 분만 Y 9 산부인과
5 Z37.00 단일생존아, 임신34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C82.0 소포성 림프종 등급 Ⅰ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2 J44.09 급성 하기도감염을 동반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, 상세불명 Y 7 내과 혈액종양내과
3 J44.19 급성 악화를 동반한 상세불명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, 상세불명 Y 7 내과 혈액종양내과
1 O44.1 출혈을 동반한 전치태반 Y 9 산부인과
2 O60.32 자연진통을 동반하지 않은 조기분만, 임신 34주 이상 Y 9 산부인과
3 D62 급성 출혈후 빈혈 N 9 산부인과
3 Z37.02 단일생산아, 임신 37주 이상 E 11 산부인과
1 O72.2 지연성 및 이차성 분만 후 출혈 Y 9 산부인과
7 I63.9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Y 2 신경과
1 J69.0 음식 또는 구토물에 의한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E87.6 저칼륨혈증 Y 2 내과
3 Z03.8 기타 의심되는 질환 및 병태의 관찰 E 11 내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E43 상세불명의 중증 단백질-에너지영양실조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Z03.8 기타 의심되는 질환 및 병태의 관찰 E 11 내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3 E11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정형외과
4 I10.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Y 1 정형외과
1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2 O34.28 이전의 기타 외과수술로 인한 자궁흉터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3 O99.8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기타 명시된 질환 및 병태 Y 2 산부인과
4 N99.4 처치후 골반복막유착 Y 2 산부인과
2 N84.0 자궁체부의 폴립 Y 1 산부인과
2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Y 2 내과 호흡기내과
5 D64.9 상세불명의 빈혈 N 4 정형외과
6 X59.09 골절을 초래하는 상세불명의 요인에 노출, 상세불명 장소 E 11 정형외과
1 E11.71 당뇨병성 족부궤양 및 괴저를 동반한 2형 당뇨병 Y 7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2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N 4 정신건강의학과
1 F31.2 양극성 정동장애, 현존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조증 Y 1 정신건강의학과
1 N10 급성 신우신염 Y 2 소아청소년과
2 B96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Y 1 소아청소년과
3 B34.8 상세불명 부위의 기타 바이러스감염 Y 2 소아청소년과
1 E11.10 케토산증을 동반한 2형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2 K85.99 상세불명의 급성 췌장염, 상세불명 Y 2 내과 소화기내과
1 E11.64 혈당조절이 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2 N30.9 상세불명의 방광염 Y 1 내과 내과통합
6 I48.90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Y 1 내과 내과통합
7 E87.6 저칼륨혈증 N 4 내과
8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N 4 내과
1 K80.30 폐색의 언급이 없는 담관염을 동반한 담관 결석 Y 7 내과 소화기내과
2 K75.9 상세불명의 염증성 간질환 Y 2 내과 소화기내과
1 I25.1 죽상경화성 심장병 Y 2 내과 순환기내과
2 I48.90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Y 1 내과 순환기내과
3 I50.9 상세불명의 심부전 Y 1 내과 순환기내과
4 K31.81 출혈을 동반한 위 및 십이지장의 혈관형성 이상 Y 7 내과 소화기내과
5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Y 1 정신건강의학과
6 L27.0 약물 및 약제에 의한 전신피부발진 N 4 피부과
7 I10.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Y 1 내과
8 E11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9 Y40.9 치료용으로 사용 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상세불명의 전신항생제 E 11 피부과
1 E11.48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한 2형 당뇨병 Y 7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2 N83.8 난소, 난관 및 넓은 인대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Y 2 산부인과
3 N13.1 달리 분류되지 않은 요관협착을 동반한 수신증 Y 2 비뇨의학과
1 R57.2 (의증) 패혈성 쇼크 Y 2 내과 내과통합
2 J81 급성 폐부종 Y 1 내과 호흡기내과
3 J96.09 급성 호흡부전, 상세불명 Y 1 내과 호흡기내과
4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Y 1 내과 신장내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J93.9 상세불명의 기흉 Y 1 내과 호흡기내과
3 J42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Y 3 내과 호흡기내과
4 Z86.1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의 개인력(Old Tbc) E 11 내과 호흡기내과
1 K35.8 급성 충수염 Y 1 외과
2 A41.9 상세불명의 패혈증 N 4 외과
1 K35.0 천공을 동반한 급성 충수염 Y 1 외과
2 A41.9 상세불명의 패혈증 N 4 외과
3 R57.2 패혈성 쇼크 N 4 외과
1 C25.0 췌장 두부의 악성 신생물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2 R57.2 패혈성 쇼크 N 4 내과 내과통합
1 P13.4 출산손상으로 인한 쇄골의 골절 Y 10 소아청소년과
2 P03.1 진통 및 분만중 기타 이상태위, 위치장애 및 불균형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E 11 소아청소년과
3 Z38.0 병원에서 출생한 단생아 E 11 소아청소년과
2 J15.2 포도구균에 의한 폐렴 N 8 내과 감염내과
3 L89.0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1단계 Y 1 내과
4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5 A41.0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패혈증 N 8 내과 감염내과
1 O14.9 상세불명의 전자간 Y 9 산부인과
2 O30.0 쌍둥이 임신 E 11 산부인과
3 O32.1 둔부태위에 대한 산모 관리 Y 9 산부인과
4 O32.5 한 명 이상 태아의 이상태위를 동반한 다태임신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5 O84.2 모두 제왕절개에 의한 다태분만 Y 9 산부인과
6 O60.12 제왕절개에 의한 조기분만을 동반한 조기자연진통, 임신 34주 이상 Y 9 산부인과
7 O36.5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자궁내 성장지연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8 O99.0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빈혈 N 9 산부인과
9 D62 급성 출혈 후 빈혈 N 9 산부인과
10 Z37.21 쌍둥이, 둘다 생존 출생, 임신 34주 이상 ~37주 미만 E 11 산부인과
4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2 R57.2 패혈성 쇼크 Y 1 내과 내과통합
3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Y 1 정신건강의학과
4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J96.00 급성 호흡부전, I형(저산소성)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I50.1 좌심실부전 Y 1 내과 순환기내과
5 O42.02 양막의 조기파열후 24시간 이내 진통 시작, 만삭(37주 이상) Y 9 산부인과
6 Z37.02 단일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 ~ 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D27.0 난소의 양성 신생물, 오른쪽 Y 1 산부인과
2 N80.0 자궁의 자궁내막증 Y 2 산부인과
3 N99.4 처치후 골반복막유착 Y 2 산부인과
4 D62 급성 출혈후 빈혈 N 4 산부인과
1 K72.01 혼수를 동반한 급성 및 아급성 간부전 N 7 외과
2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Y 1 외과
3 K43.2 반흔 탈장 N 4 외과
1 K40.20 재발성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, 폐색 또는 괴저가 없는 양쪽 사타구니탈장 Y 2 외과
1 S42.230 상완골 외과목의 골절, 폐쇄성 Y 1 정형외과
1 K35.8 기타 및 상세불명의 급성 충수염 Y 1 외과
3 K76.88 간내 혈종 감염 Y 2 내과 소화기내과
1 N39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N 4 비뇨의학과
1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Y 2 내과
2 K80.31 폐색을 동반한 담관염을 동반한 담관결석 Y 7 내과 소화기내과
3 A41.9 상세불명의 패혈증 N 4 내과 내과통합
3 N18.3 만성 신장병 3기 Y 1 내과 신장내과
4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Y 1 내과
5 I50.08 울혈성 심장병 Y 1 내과 순환기내과
1 N18.5 만성 신장병(5기) Y 1 내과 신장내과
9 U82.80 카바페넴계 내성 W 6 내과
10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O32.5 한 명 이상 태아의 이상태위를 동반한 다태임신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4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N 4 내과 호흡기내과
1 R50.99 상세불명의 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A15.91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공동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호흡기결핵 Y 2 내과 호흡기내과
3 R68.8 기타 명시된 전신 증상 및 징후 Y 1 내과 호흡기내과
1 H35.36 황반의 주름 Y 1 안과
1 M75.1 (의증) 회전근개증후군 Y 2 정형외과
2 I10.9 고혈압 Y 1 정형외과
3 E14.9 당뇨병 Y 1 정형외과
1 N40.0 전립선 증식증 Y 1 비뇨의학과
2 T81.4 (의증)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따른 감염 N 2 비뇨의학과
3 Y83.6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기관의 절제 E 11 비뇨의학과
2 H25.81 기타 노년백내장, 왼쪽 Y 1 안과
3 H33.39 상세불명의 망막열공 Y 2 안과
1 H25.91 상세불명의 노년백내장, 왼쪽 Y 1 안과
2 T81.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중의 우발적 천자 또는 열상 N 4 안과
3 Y60.0 외과적 수술 도중에 생긴 비의도적 절단, 천자, 천공 또는 출혈 E 11 안과
1 J35.0 만성 편도염 Y 3 이비인후과
2 D10.5 입인두의 기타 부분의 양성 신생물 Y 2 이비인후과
5 E87.2 산증 Y 1 내과
6 D69.3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3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N 4 정형외과
4 T84.8 내부 정형외과적 인공삽입장치, 삽입물 및 이식편의 기타 합병증 N 4 정형외과
5 W19.9 상세불명의 낙상, 상세불명 장소 E 11 정형외과
1 S72.090 대퇴골 경부의 상세불명 부분의 골절, 폐쇄성 Y 1 정형외과
2 I26.9 급성 폐심장증에 대한 언급이 없는 폐색전증 Y 1 정형외과
2 K71.6 약물 유발 독성(예측가능) 간질환 N 4 내과 소화기내과
3 K76.0 달리 분류되지 않은 지방 간 Y 1 내과 소화기내과
1 E11.10 케톤산증을 동반한 2형 당뇨병 Y 7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2 I26.9 급성 폐심장증에 대한 언급이 없는 폐색전증 N 4 내과 순환기내과
3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N 4 내과
4 J96.01 급성 호흡부전, II형[고탄산성] N 4 내과 혈액종양내과
2 O32.1 둔부태위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3 O36.5 태아성장불량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4 O60.12 조기분만을 동반한 조기자연진통, 임신 34주 이상 Y 9 산부인과
5 O68.1 양수내 태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W 6 산부인과
6 O84.2 모두 제왕절개에 의한 다태분만 Y 9 산부인과
7 O30.0 쌍둥이임신 E 11 산부인과
8 Z37.21 쌍둥이, 둘 다 생존출생, 임신 34주 이상 ~ 37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I50.1 심장병 NOS 또는 심부전의 기재가 있는 폐부종 Y 7 내과 호흡기내과
2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Y 1 내과
3 I48.9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Y 1 내과 순환기내과
4 G30.1 만기발병을 수반한 알츠하이머병 Y 1 신경과
5 F00.1 만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Y 1 신경과
1 J10.0 계절성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확인된, 폐렴을 동반한 인플루엔자 Y 7 내과 호흡기내과
1 O33.9 상세불명의 불균형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2 O61.0 의학적 유도분만의 실패 N 9 산부인과
3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4 Z35.5 고령 초임녀 임신의 관리 E 11 산부인과
5 Z37.02 단일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 ~ 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O34.22 이전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제왕절개로 인한 자궁흉터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2 O36.6 태아의 과다성장에 대한 산모관리 Y 9 산부인과
3 O24.4 임신중 생긴 당뇨병 Y 9 산부인과
4 O82.0 선택적 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5 Z37.02 단일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 ~ 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2 N83.1 황체낭 Y 2 외과
3 N73.9 상세불명의 여성골반염증질환 Y 2 외과
6 R33 소변정체 Y 1 내과
1 K51.9 상세불명의 궤양성 결장염 Y 1 내과 소화기내과
4 C20 직장의 악성 신생물 Y 2 내과 소화기내과
3 C79.5 골 및 골수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4 T85.6 기타 명시된 내부 인공삽입장치, 삽입물 및 이식편의 기계적 합병증 N 4 내과 혈액종양내과
5 Y84.8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의학적 처치 E 11 내과 혈액종양내과
1 C34.10 기관지 또는 폐 상엽의 악성 신생물, 오른쪽 Y 2 내과 혈액종양내과
2 C77.1 흉곽내 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 신생물 Y 2 내과 혈액종양내과
3 C78.2 흉막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Y 2 내과 혈액종양내과
4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2 내과 혈액종양내과
1 D01.53 파터팽대의 제자리 암종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K85.80 기타 급성췌장염, 경증 N 4 내과 소화기내과
1 K72.90 상세불명의 간부전, 혼수를 동반하지 않는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K74.44 이차성 담즙성 간경변증, 비대상성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K80.51 담관염 또는 담낭염이 없는 담관결석, 폐색을 동반한 Y 7 내과 소화기내과
4 S06.50 외상성 경막하 출혈, 열린 두개내 상처가 없는 Y 1 내과 소화기내과
5 W06.2 침대가 관여된 낙상, 학교, 기타 시설 및 공공행적 구역 E 11 내과 소화기내과
1 K35.3 국소복막염을 동반한 급성 충수염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I95.9 상세불명의 저혈압 Y 1 내과
3 R56.8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련 Y 1 신경과
4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1 N10 급성 신우신염 Y 1 소아청소년과
2 B37.0 구강의 아구창 N 4 소아청소년과
1 J12.88 기타 바이러스폐렴 Y 1 소아청소년과
2 B97.1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엔테로바이러스 Y 1 소아청소년과
3 B97.8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기타 바이러스감염체 Y 1 소아청소년과
1 H66.91 상세불명의 중이염, 양쪽 Y 1 소아청소년과
1 L89.2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3단계 Y 1 신경과
2 Z86.7 오래된 뇌경색증 E 11 신경과
1 E11.64 혈당조절이 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내과 신장내과
8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N18.5 만성 신장병(5기) Y 1 내과 신장내과
2 E03.9 갑상선기능저하증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3 K05.39 만성 치주염 Y 3 내과
4 I10.9 고혈압 Y 1 내과
5 E14.9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2 내과 내과통합
2 N10 급성 신우염 Y 2 내과 내과통합
2 F63.0 병적 도박 Y 1 정신건강의학과
3 F25.0 조현정동장애, 조증형 Y 1 정신건강의학과
4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N 4 정신건강의학과
1 K81.0 급성 담낭염 Y 1 외과
2 F05.8 기타 섬망 N 4 정신건강의학과
3 E87.1 저오스몰랄농도 및 저나트륨혈증 Y 1 정신건강의학과
4 E87.6 저칼륨혈증 N 4 정신건강의학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2 C46.9 상세불명의 카포시육종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3 J90 흉막삼출액 N 4 내과
4 D70.0 호중구 감소성 발열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5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N 4 정신건강의학과
6 T81.4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에 따른 감염 Y 1 내과 감염내과
7 Y83.6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기관의 절제 E 11 내과
8 B96.1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폐렴막대균 W 6 내과
1 C24.0 간외담관의 악성신생물 Y 2 내과 소화기내과
2 O62.0 원발성 부적절수축 N 9 산부인과
5 B37.0 칸디다구내염 Y 2 내과 혈액종양내과
6 E11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1 C78.2 흉막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2 C16.91 상세불명의 위의 악성 신생물, 진행형 Y 1 내과 혈액종양내과
7 F05.8 (의증) 혼합 기원의 섬망 N 2 정신건강의학과
2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3 O69.1 목둘레탯줄에 의한 압박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Y 9 산부인과
4 O24.4 임신 중 생긴 당뇨병 Y 9 산부인과
5 D62 급성 출혈 후 빈혈 N 9 산부인과
6 Z37.02 단일생존아, 임신 37주 이상 ~ 42주 미만 E 11 산부인과
1 O13 임신[임신-유발]고혈압 Y 9 산부인과
2 O43.2 병적 유착태반 Y 9 산부인과
3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4 O72.1 기타 분만직후 출혈 N 9 산부인과
5 O69.8 기타 탯줄합병증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N 9 산부인과
1 O68.1 양수내 태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Y 9 산부인과
2 O61.0 의학적 유도분만의 실패 N 9 산부인과
3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N 9 산부인과
4 O42.92 상세불명의 양막의 조기파열, 만삭(37주 이상) Y 9 산부인과
5 Z35.5 고령 초임녀 임신의 관리 E 11 산부인과
5 J90 달리 분류되지 않은 흉막삼출액 Y 1 내과
1 E11.22 말기신장병을 동반한 2형 당뇨병(N08.3*) Y 1 내과 신장내과
2 N08.3 당뇨병에서의 사구체장애(4단위 .2-에 해당되는 E10-E14†) Y 1 내과 신장내과
5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N 4 정신건강의학과
3 J44.10 급성 악화를 동반한 상세불명의 만성 폐색성 폐질환, 경도 N 7 내과 호흡기내과
1 N80.0 자궁의 자궁내막증 Y 1 산부인과
2 D64.9 상세불명의 빈혈 N 4 산부인과
3 N73.6 여성골반복막유착 Y 2 산부인과
4 Y83.8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기타 외과적 처치 E 11 산부인과
5 Z03.8 기타 의심되는 질환 및 병태의 관찰, 배제된 E 11 산부인과
1 P59.0 조산과 관련된 신생아황달 Y 10 소아청소년과
2 P07.32 34~36주 기타 조산아 E 11 소아청소년과
3 P83.5 선천성 음낭수종 Y 10 소아청소년과
4 P03.4 제왕절개 분만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E 11 소아청소년과
5 Z38.3 병원에서 출생한 쌍둥이 E 11 소아청소년과
1 O14.2 헬프증후군 Y 9 산부인과
2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3 O60.31 자연진통을 동반하지 않은 조기분만, 임신 22주 이상 ~34주 미만 Y 9 산부인과
1 C18.1 충수의 악성 신생물 Y 2 외과
2 K35.2 범복막염을 동반한 급성 충수염 Y 1 외과
3 I10.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발성 고혈압 Y 1 외과
4 E78.5 상세불명의 고지질혈증 Y 1 외과
1 S72.120 대퇴골전자간골절, 폐쇄성 N 4 정형외과
2 K80.31 폐색을 동반한 담관염을 동반한 담관 결석 Y 1 정형외과
3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정형외과
4 W18.2 동일면상에서 기타 넘어짐, 학교, 기타 시설 및 공공행정 구역 E 11 정형외과
1 I63.9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N 4 신경과
2 M41.96 상세불명의 척주측만증, 요추부 Y 1 신경과
3 M48.06 척추협착, 요추부 Y 1 신경과
4 M51.2 기타 명시된 추간판전위 Y 1 신경과
5 F32.9 상세불명의 우울에피소드 N 4 신경과
1 L12.0 수포성 유사천포창 Y 1 피부과
2 B37.0 칸디다구내염 N 4 이비인후과
1 I62.0 비외상성 경막하출혈 Y 2 가정의학과
2 L89.1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2단계 N 4 가정의학과
3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N 4 가정의학과
1 D25.9 상세불명의 자궁의 평활근종 Y 1 산부인과
2 T81.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처치중의 우발적 천자 또는 열상 N 4 산부인과
3 Y60.0 외과적 수술도중에 생긴 비의도적 절단, 천자, 천공 또는 출혈 E 11 산부인과
8 U82.2 광범위 베타락탐계내성 N 4 내과
1 C53.9 상세불명의 자궁경부의 악성 신생물 Y 1 산부인과
4 S30.0 아래등 및 골반의 타박상 Y 1 정형외과
5 W19.9 상세불명의 낙상, 상세불명 장소 E 11 정형외과
6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N 4 내과 호흡기내과
1 S42.420 상완골의 관절융기위골절, 폐쇄성 Y 1 정형외과
2 T00.9 상세불명의 여러 부위의 표재성 손상 Y 1 정형외과
3 S81.9 아래다리의 상세불명 부분의 열린상처 Y 1 정형외과
4 I95.9 상세불명의 저혈압 N 4 정형외과
2 C22.0 간세포암종의 악성 신생물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E44.0 중등도 단백질-에너지영양실조 Y 2 내과 소화기내과
4 K25.01 출혈이 있는 급성 위궤양 N 7 내과 소화기내과
1 I71.3 파열된 복부대동맥동맥류 N 7 내과 순환기내과
1 K70.30 복수를 동반하지 않은 알코올성 간경변증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K72.90 혼수를 동반하지 않은 상세불명의 간부전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F10.4 섬망을 동반한 알코올의 금단상태 N 7 정신건강의학과
4 R31.8 기타 및 상세불명의 혈뇨 Y 1 비뇨의학과
5 I86.49 출혈이 없는 위정맥류 Y 2 내과 소화기내과
4 A16.51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에 대한 언급이 없는 공동이 없거나 상세불명의 결핵성 흉막염 Y 2 내과 신장내과
5 I63.51 전대뇌동맥의 상세불명 폐쇄 또는 협착에 의한 뇌경색증 N 4 내과 신장내과
6 I10.9 고혈압 Y 1 내과 신장내과
1 S22.050 T7 및 T8 부위의 골절, 폐쇄성 Y 1 신경외과
2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2 비뇨의학과
4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5 Z37.01 단일생산아, 임신 34주 이상 ~ 37주 미만 E 11 산부인과
2 M19.01 기타 관절의 원발성 관절증, 어깨부분 Y 1 정형외과
1 A09.9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E87.6 저칼륨혈증 Y 1 내과
3 I65.2 경동맥의 폐쇄 및 협착 Y 2 신경외과
1 K92.2 상세불명의 위장출혈 Y 1 내과 소화기내과
2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Y 1 내과 신장내과
3 I48.9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 N 4 내과 순환기내과
4 L89.2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3단계 Y 1 내과
1 A41.9 패혈증 Y 1 내과 감염내과
2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1 내과 감염내과
3 B96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Y 1 내과
4 N18.9 만성 신부전 Y 3 내과 신장내과
5 I48.9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Y 1 내과 순환기내과
6 I50.9 상세불명의 심부전 Y 1 내과 순환기내과
7 E87.0 고나트륨혈증 Y 1 내과
8 I10.9 고혈압 Y 1 내과
9 E11.9 제 2형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A41.9 상세불명의 패혈증 Y 1 내과 내과통합
2 R57.2 패혈성 쇼크 Y 1 내과 내과통합
3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1 내과 신장내과
4 U82.2 광범위 베타락탐계 내성 Y 1 내과
6 D64.9 상세불명의 빈혈 Y 1 내과
1 J44.19 급성악화를 동반한 상세불명의 만성폐쇄성폐질환 Y 7 내과 호흡기내과
2 I10.9 고혈압 Y 1 내과
2 I48.9 상세불명의 심방세동 N 4 내과 순환기내과
3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N 4 내과 신장내과
1 A41.9 상세불명의 패혈증 Y 1 내과 내과통합
2 K75.0 간의 농양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K80.31 폐색을 동반한 담관염을 동반한 담관 결석 Y 7 내과 소화기내과
3 L89.3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제4단계 Y 1 내과
4 R18 복수 Y 1 내과 소화기내과
3 J20.9 상세불명의 급성 기관지염 Y 1 소아청소년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2 내과 호흡기내과
2 E11.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Y 1 내과 내분비.대사내과
1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2 내과 호흡기내과
2 A04.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N 8 내과 소화기내과
3 B36.9 상세불명의 표재성 진균증 N 4 피부과
4 Z93.0 기관절개상태 E 11 내과
1 T82.8 심장 및 혈관 인공삽입장치, 삽입물 및 이식편의 기타 명시된 합병증 Y 1 내과 신장내과
2 Y83.2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연결, 우회로 또는 이식의 외과적 수술 E 11 내과 신장내과
3 N18.5 말기신장병 투석중 Y 1 내과 신장내과
4 N17.9 상세불명의 급성신부전 N 4 내과 신장내과
5 E87.6 저칼륨혈증 Y 1 내과
1 O68.2 양수내 태변을 동반한 태아심박수이상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W 6 산부인과
3 I10.9 고혈압 Y 1 내과
1 I63.9 상세불명의 뇌경색증 Y 1 신경과
2 R56.8 기타 및 상세불명의 경련 Y 1 신경과
3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N 4 내과 신장내과
4 I31.3 심낭삼출액(비염증성) Y 1 내과 순환기내과
5 Z11.5 기타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E 11 내과
1 N17.9 상세불명의 급성 신부전 Y 1 내과 신장내과
2 N40.0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전립선증식증 Y 1 비뇨의학과
3 I26.9 급성 폐심장증에 대한 언급이 없는 폐색전증 Y 2 내과 순환기내과
1 N17.8 기타 급성 신부전 Y 1 내과 신장내과
2 N18.9 상세불명의 만성 신장병 Y 1 내과 신장내과
3 M17.1 무릎골관절증 Y 1 정형외과
4 L03.11 다리의 연조직염 Y 1 내과 감염내과
1 I42.0 확장성 심근병증 Y 1 내과 순환기내과
2 I47.2 심실성 빈맥 N 4 내과 순환기내과
3 F05.9 상세불명의 섬망 Y 2 정신건강의학과
4 N39.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감염 Y 2 내과 감염내과
5 B96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Y 2 내과
1 S32.020 L1 부위의 골절, 폐쇄성 Y 2 정형외과
2 W01.0 미끄러짐, 걸림 및 헛디딤에 의한 동일 면상에서의 낙상, 주택 E 11 정형외과
3 G30.9 상세불명의 알츠하이머병 Y 2 신경과
4 F00.9 상세불명의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(G30.9†) Y 2 신경과
1 I50.9 상세불명의 심부전 Y 2 내과 순환기내과
2 I35.0 대동맥판협착 Y 2 내과 순환기내과
3 I34.0 승모판기능부전 Y 2 내과 순환기내과
4 J18.9 상세불명의 폐렴 Y 1 내과 호흡기내과
5 J44.19 급성악화를 동반한 상세불명의 만성폐쇄성폐질환 Y 1 내과 호흡기내과
6 R57.0 심장성 쇼크 N 4 내과 순환기내과
7 S74.0 엉덩이 및 대퇴부위의 좌골신경의 손상 N 4 신경외과
8 Y71.2 유해사건과 관련된 심혈관장치, 인공삽입물 및 기타 이식물, 재료 및 부속장치 E 11 내과 순환기내과
1 O41.1 양막낭 및 양막의 감염 Y 9 산부인과
2 O82.1 응급제왕절개에 의한 분만 Y 9 산부인과
1 B48.5† 폐포자충에 의한 폐렴(J17.2*) Y 8 내과 호흡기내과
2 J17.2* 진균증에서의 폐렴 Y 8 내과 호흡기내과
3 J94.8 수기흉 N 4 심장혈관흉부외과
4 C34.30 하엽, 기관지 또는 폐의 악성 신생물, 오른쪽 Y 1 내과 호흡기내과
5 C78.7 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Y 1 내과 호흡기내과
6 C79.50 골 및 골수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Y 1 내과 호흡기내과
1 O88.2 산과적 혈액응고색전증 Y 2 내과 순환기내과
2 O99.4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순환계통 질환 Y 2 내과 순환기내과
3 I60.9 상세불명의 거미막하출혈 Y 2 신경외과
4 O99.3 임신,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신경계통의 질환 및 정신장애 Y 2 신경외과
5 G41.8 기타 뇌전증지속상태 N 4 신경과
6 O86.2 분만에 따른 요로감염 N 4 내과 내과통합
7 B96.2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대장균 N 4 내과

POA 적용사유 및 결과

상병연번 상병코드 POA 적용 사유 및 결과
3 I48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C83.3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05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N39.0 입원 당일 시행한 Urine Cx 상 Pseudomonas aeruginosa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B95.2 입원 당일 시행한 Urine Cx 상 Pseudomonas aeruginosa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D62 입원 시 혈액검사 상 Hb 9.6g/dL로 낮았으나, 주호소인 Menorrhagia 및 Myoma의 병태생리학적 특성을 보아 Chronic Anemia 상태였을 것으로 보임. 경과기록 상 '1/16(POD#1) J-P Drain: 150, 출혈로 인해 Pad 10장 교체함. Hb 8.3 확인되어 경구철분제 복용 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S52.190 입원하기 전 응급실 침대에서 낙상하여 촬영한 영상검사 상 좌측 요골의 골절을 진단받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W06.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I5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87.0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Na 143mEq/L로 정상수치였으나, 7/24(HD#3) Na 146mEq/L로 상승됨. 또한, 7/28(HD#7) 신장내과 협진 상 '7/24(HD#3) PCD drain 하면서 dehydration 되어 Hypernatremia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'고 기록 확인됨. 또한, 입원 당시 Osmolality 결과는 없으나, 7/28(HD#7) 시행한 Osmolality 결과 303mOsm/kg로 상승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E27.4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25.8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97.8 경과기록 상 ‘CTO lesion PCI fail. 경과 관찰 중 환자 BP 70/60으로 급격히 떨어지며 V-scan에서 pericardial effusion 보임. norpine 사용하며 응급으로 심도자실에서 CAG 및 Echo 시행하였으며, CAG 상 LAD에서 extravasation 소견보여 embolization 시행 및 Echo 상 pericardial effusion 보여 응급 pericardiocentesis 시행함.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Y84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4 E11.64 입원 전(11/2) HbA1c 7.0%, 입원 당일 식전혈당 176으로 입원 이전부터 정상범위보다는 높았지만, 해당 수치만으로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없음. 입원 중 4/22(HD#5)에 식전혈당 496, 식후 2시간 혈당 358까지 측정되며 4/23(HD#6) 내분비내과 협진 시행 후 Diamicron 80mg 추가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J18.9 입원 전(11/6) SpO2 75% check 되어 O2 apply 하고 회복되었다가 11/9 SpO2 82% check 되어 입원하였으며 경과기록 상 'Imp. Pneumonia로 Piperacillin+Levofloxacin 항생제 치료 및 O2 5L apply 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17.9 입원 전 Cr 결과가 있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지만, 입원 전 Cr 결과가 확인되지 않으므로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Cr 1.1mg/dL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, 11/12(HD#3)의 Cr 1.5mg/dL로 48시간 이내 0.4mg/dL 증가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I50.9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NT-proBNP 5,605.1pg/mL로 상승되었고, 경과기록 상 'Heart failure 소견으로 11/11 Digoxin, Lasix 투약하며 I/O 조절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F31.8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I10.9 경과기록 상 'HTN, 입원 당시부터 SBP 160-170mmHg으로 IV Perdipine→PO Amlodipine으로 변경 후 SBP 120-130mmHg으로 유지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5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K 4.5mEql/L로 정상수치였으나, 타병원에서 검사한 BST 367mg/dL로 고혈당 소견 기록 확인됨. 고혈당 치료로 K는 3.5mEql/L로 낮아짐.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당시 환자 전신 컨디션을 고려하면 저칼륨혈증은 고혈당에 가려져 입원 당시 검사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았을 뿐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A04.9 경과기록 상 'CT, Lab 상 Bacterial enteritis NOS로 항생제 및 약물 치료함.' 기록 확인되지만, 7/20(HD#2) A-P CT 상 'possible infections or nonspecific colitis' 및 복통과 설사 주호소로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2 R51 경과 기록 상 '입원 기간 중 두통 호소로 신경과 협진: Pontal, Tizanidine 추가, Brain CT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일 외래초진 기록 상 '두통/설사/미열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1 O41.0 Severe oligohydramnios & fetal echogenic bowel 소견으로 타병원에서 외래 진료 중, Vaginal spotting 있고 Severe oligohydramnios 및 PROM 의심 하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8.8 입원 당일 기록 상 '경과관찰 중 12"00 NST상 fetal distress 확인되어 emergency C-sec 후 시행하였으며, 수술 기록 상 'fetal distress', 입원 당시 NST 상 'FHR baseline 160, minimal variability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69.2 입원 당일 시행한 수술기록 상 ‘umbilical cord knot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60.31 진통을 동반하지 않은 25+2wks 초산모로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O67.9 경과기록 상 'Emergency C-sec 후 산모는 bleeding 있어 지혈 후 hemo-vac 거치하고 contracture 좋지 않아 카베토신, 에르빈 apply함. EBL: 1100cc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O82.1 Severe oligohydramnios & fetal echogenic bowel 소견으로 타병원에서 외래 진료 중, Vaginal spotting 있고 Severe oligohydramnios 및 PROM 의심 하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7 Z37.0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8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O99.6 IUP 36+4 weeks 환자로 Abdominal pain 주호소로 내원하여 6/7(HD#2) Abdomen sono 상 'GB neck stone without cholecystitis' 기록 확인되었으나,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 상 Stone 관찰되어 verbal reading상 gallstone gallbladder with cholecystitis 진단 하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80.20 IUP 36+4 weeks 환자로 Abdominal pain 주호소로 내원하여 6/7(HD#2) Abdomen sono 상 'GB neck stone without cholecystitis' 기록 확인되었으나,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 상 Stone 관찰되어 verbal reading상 gallstone gallbladder with cholecystitis 진단 하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70.0 경과기록 상 'Vaginal delivery w/o episiotomy 하였으며 6/8 37weeks, 2800g으로 여아 출산하여 신생아실로 이동함. Blood loss 200ml, 1st Laceration of perineum 있었고 그 외 특이 합병증 없음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5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66.4 Overterm induction으로 입원 당시 원활한 NSVD 위해 Pitocin 투약하였으나 Pelvic change 없어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D25.2 입원 전인 9/9 3rd Trimester 초음파 상 Myoma 확인되었으므로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82.1 Overterm induction으로 입원 당시 원활한 NSVD 위해 Pitocin 투약하였으나 Pelvic change 없어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O99.8 입원 전인 9/9 3rd Trimester 초음파 상 Myoma 확인되었으므로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64.0 진통 있어 입원하였고, NSVD 계획하에 분만 시도하였으나 arrested descent & dilatition relater P position으로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3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G72.3 경과 기록 상 '양쪽 다리 아리는 듯한 통증으로 신경과 협진(9/29.HD#7) 시행하여 약제조정 및 검사 시행함.' 기록 확인되지만, 3년 전부터 다리 저린 증상 있었고,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K 1.7mEq/L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25.01 'Acute gastric ulcer' 와 'hemorrhage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'위궤양'은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지만, '출혈'은 경과기록 상 '재원 중 처방받은 Steroid로 인해 입원 18일 째 위궤양 출혈이 발생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7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76.7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Cr 0.99mg/dL로 정상이었으나, 7/13(HD#6) 혈액검사 상 Cr 3.13mg/dL으로 상승됨. 간신증후군 가능성 하 신장내과 협진 시행함. 협진기록 상 'Hepatorenal syndrome 가능성 충분히 있으며 Dehydration 및 GI bleeding으로 인한 BUN증가도 함께 동반하였을 가능성 있음. 충분히 Hydration 하고 Hepatorenal syndrome에 대한 medication 필요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O82.1 진통 있어 입원하였고, NSVD 계획하에 분만 시도하였으나 arrested descent & dilatition relater P position으로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4 Z35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72.0 경과기록 상 '입원하여 질식 단태아 분만 후 잔류태반으로 인해 분만 제3기 출혈이 시작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2 O8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72.1 경과기록 상 '반복적 제왕절개로 건강한 남아를 출산하였고, 심한 출혈과 자궁이완 증세가 있어 양손압박법을 시행하였고, 실혈량은 1,000cc로 측정되었음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O62.2 경과기록 상 '반복적 제왕절개로 건강한 남아를 출산하였고, 심한 출혈과 자궁이완 증세가 있어 양손압박법을 시행하였고, 실혈량은 1,000cc로 측정되었음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O82.0 입원의 사유가 되는 진단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34.21 경과기록 상 '반복적 제왕절개로 건강한 남아를 출산하였음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46.9 '내원 3시간 전 대형 패드 1장 분량의 선홍색 출혈 있어 타 병원에서 초음파 확인 후 태아는 문제없으나 자궁경부 길이 짧아져있고 조산 위험성 있어 응급실로 내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0.01 응급실 경과기록 상 'NST) No ut. contraction, Fetal variability reactive. Sono) Vx, 1735g, Placenta post, AFI 12~13cm, FHB(+). CL 0.9~1.0cm, Funneling(+)’ 기록 확인되며 '자궁 수축이 없었으나, 자궁경부 길이가 짧아 예방적으로 조기진통 억제제를 사용한 것이며, 입원 5일 째 Uterine Contraction(+), 30torr*1, 10torr*1, fetal variability reactive 이었음.' 주치의 소견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O24.4 ‘IUP 30주 0일된 초산모로 임신성 당뇨로 식이조절 중임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14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10 Acute pyelonephritis(3개월 전) 과거력은 있으나 내원 2일 전부터 있었던 Fever, Right flank pain이 심해져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 시작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B96.2 대장염 과거력이 있으며 내원 3일 전부터 대장염에 대한 약을 끊었고, 입원 당일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A04.7 5/25(HD#3) C.difficile Toxin Gene(Xpert) Positive 확인되나, 대장염 과거력이 있으며 내원 3일 전부터 대장염에 대한 약을 끊었고, 점액성 혈변 증상이 있었다는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20.5 ‘Acute bronchitis’과 ‘respiratory syncytial virus’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기관지염으로 입원하여 입원 5일 째 시행한 호흡기 14종 바이러스 검사에서 RSV 양성 소견을 보였지만, 기관지염은 입원 당시부터 있었고, 그 원인균이 입원 이후 확인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Y을 부여함
1 C71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0.9 9/24(HD#2) Abdomen, pelvic sono 상 'r/o hepatopathy with mild fatty change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T.bil 7.78mg/dl/AST 111IU/L/ALT 42IU/L로 상승함. 또한, 경과기록 상 '매일 소주 1~2병가량 먹는 분으로 전신 황달 관찰되며, Both pitting edema, Liver 관련 w/u 위해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R18 입원 당일 Abdomen X-ray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, A-P CT 상 'fluid in the perihepatic space and pelvis, fluid and air containing small bowels with proximal collapsed loops' 기록 확인됨. 10/3(HD#11) 시행한 Abdomen X-ray 상 'Lt. Pleural effusion, Normal both kidneys, hepatomegaly, r/o ascites' 기록 확인되고 이뇨제 사용 및 10/5(HD#13) 복수천자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4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4 J90 입원 당일 Chest X-ray 상 특이 소견 없었으나, 10/2(HD#10) 시행한 Chest X-ray 상 'Both Pleural effusion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5 Z03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I48.0 3/13(HD#5) PR 160회로 Tarchycardia 소견보여 시행한 EKG 상 ‘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’ 기록 확인되었으며, 경과기록 상‘Inotropics에 의해 발생한 A.fib일 가능성 높다고 생각함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L89.1 ‘내원 시 왼쪽 대퇴골에 Pressure sore Grade 2로 Dressing을 지속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R56.8 퇴원 시 최종진단이 r/o으로 기록되어 있으며, 경과기록 상 ‘3/12(HD#4) 오후 3차례에 걸쳐 1분미만의 seizure like movement로 신경과 응급 협진 하 keppra 500mg add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8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83.2 Abdomen pain 주호소로 내원하여 입원 당일 시행한 A-P CT 상 'R/O acute hemorrhage due to Rt ovarian rupture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66.1 수술로 최종 확진되지 않아 퇴원 시 최종진단이 r/o으로 기록되어 있으며, 입원 당일 Abdomen pain 주호소로 시행한 A-P CT 상 ‘r/o acute hemorrhage due to right ovarian rupture’ 기록 확인됨. 또한, 4/21(HD#2)에 시행한 Sono 상 'Hemoperitoneum mild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M48.06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K74.6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D64.9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Hb 8.4g/dL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S90.2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X59.99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K35.8 복통으로 내원하여 급성충수염 진단 하 충수절제술을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14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65.8 입원 전부터 Para site redness, swelling, oozing 지속되었다고 하며, 응급실에서 시행한 Paracentensis 상 WBC 3377(PML 74.5%, 2515)로 SBP에 준하여 항생제 및 Volume control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0.31 Alcoholic cirrhosis of liver' 와 'ascites' 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해당 과거력 있는 환자로 입원하여 Paracentesis 시행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7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14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18.5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05.39 입원 당시 진단받지 않았지만 만성질환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3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48.9 입원 이전 통원수술 후 회복실에 있는 동안 진단받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40.9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31.7 입원 전 외래에서 시행한 내시경 상 'Duodenum에 Huge polyp 관찰되며 oozing되는 양상으로 bleeding 지속됨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D50.0 입원 전 외래 혈액검사 상 Hb 7.4g/dL로 낮았으며, 입원 후 RBC 수혈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Hb이 낮은 수치를 보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T81.0 입원 전 외래에서 시행한 Endoscopic Resection site에서 Active bleeding 지속되어 내시경적 지혈술 시행 후 추가로 Embolization 시행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C18.9 6/24(입원 전) 시행한 EGD 상 early colon cancer, T-colon으로 ESD를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T81.2 7/26(HD#2) 시행한 ESD 상 ‘s/o micro perforation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Y60.4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D25.2 입원 전 외래에서 시행한 초음파상 Myoma Ut, r/o EM polyp 관찰되어 수술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68.9 입원 기록상 입원 시 체크한 V/S상에서 SBP 160~170 측정되어 imp. Pre-eclampsia, severe form, Fetal distress 진단 하 응급 C/sec 위해 입원함의 기록이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37.0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C82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44.09 ‘급성 하기도 감염’과 ‘만성 폐쇄성 폐질환’을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기저질환 COPD 환자로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여 CCRT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44.19 기저질환 COPD 환자로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여 CCRT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44.1 수술기록상 ‘Placenta Previa' 소견 확인 되며, 입원 시 부터 vaginal bleeding 확인됨. 이는 입원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0.32 입원기록상 PA 36+2wks에 진통없이 vaginal bleeding으로 내원하였고 Emergency C-sec 계획 하에 입원 및 분만 한 기록 확인되어 이는 입원 시 존재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D62 분만 시 Blood loss 1300cc가량, 이후 Hb 9g/dL대로 확인되며 RBC T/F 및 Venostin, Feroba추가 투약 이력 확인됨. 이는 입원 시 존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72.2 경과기록 상 '질식 분만 후 문제 없이 퇴원한 산모로 3일 후 질 출혈이 있어서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I63.9 5/4(HD#2) 시행한 Diffusion MRI 상 'Several scattered acute embolic infarction at bilateral corona radiata. Diffuse brain atrophy and vertriculomegaly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시 Mental change 주호소로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69.0 식사 시 Aspiration 증상이 있었으며, 내원 1일 전 타 병원에서 Pneumonia 소견으로 입원 권유받았으나 Refuse함. 증상 악화되어 내원하였고, 내원 당시 Dyspnea, Initial SpO2 76%, Fever 37.5℃ 및 Chest X-ray 상 'Pneumonia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Glucose 1,255mg/dL, K 4.5mEql/L로 고혈당만 확인되나, 고혈당 치료로 Glucose 463mg/dL, K 3.3mEql/L로 낮아짐.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당시 환자 전신 컨디션을 고려하면 저칼륨혈증은 고혈당에 가려져 입원 당시 검사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았을 뿐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Z03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J18.9 입원 이전부터 호흡곤란 등 폐렴 의심되어 항생제 복용하였으나 증상 호전되지 않아 입원하였고, 입원 당시 시행한 Chest X-ray 상 'Progressing pneumonia, both lung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E43 7/20(HD#7) 영양상태 판정 상 'Severe Protein Energy malnutrition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시 몸무게 41kg, Albumin 1.3g/dL으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Z03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J18.9 Fever 주호소로 응급실에서 시행한 Chest CT 상‘Bronchopneumonia in both lungs’ 기록 확인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11.9 과거력: DM, HTN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I10.9 과거력: DM, HTN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82.1 내원당일 양수파열과 배 뭉침으로 응급실에서 em)C/S 결정되어 입원한 산모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34.28 ‘과거력: Myomectomy(’21)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99.8 Myomectomy 과거력 및 ‘Uterus & Lt adnexa & Bowel adhesion’ 기록 확인되며, 입원 후 새롭게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N99.4 Myomectomy 과거력 및 ‘Uterus & Lt adnexa & Bowel adhesion’ 기록 확인되며, 입원 후 새롭게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84.0 입원 전 외래에서 시행한 초음파상 Myoma Ut, r/o EM polyp 관찰되어 수술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90 입원초진기록상 ‘Bilateral pleural thickening’ 소견 및 ‘Pleural effusion PU 협진’에 대한 진단계획 확인됨. 이는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D64.9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Hb 12.0g/dL으로 정상이었으나, 9/10(HD#8) 시행한 혈액검사 상 Hb 9.5g/dL로 낮아졌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X59.09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E11.71 ‘DM Type 2’와 ‘diabetic foot ulcer and gangrene’을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과거 DM foot으로 Debridement 시행하였던 이력이 있고 2달 전 타원에서 시행한 검사 상 Rt. toe ulcer aggravation 확인되어 evaluation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F05.9 입원 당시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나, 10/10(HD#3) 밤에 잠을 못자고 헛소리 하는 증상 보여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되었고, Quetiapine 복용 시작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F31.2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10 4/10(HD#2) Abdomen+Kidney Sono 상 'R/O) diffuse renal disease, Lt., such as APN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2일전부터 Oliguria가 있었고, 입원 당시 Fever 39.4℃로 입원하였고, 입원 당일 시행한 Urine WBC 2+(250 WBCs/ul),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>100,000 CFU/mL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B96.2 입원 당일 시행한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>100,000 CFU/mL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B34.8 4/10(HD#2) 호흡기 virus 14종 PCR 상 Rhinovirus, PCR(+)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전부터 재채기와 코 막히는 증상이 있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로 부여함
1 E11.10 타 병원에서 진료 후 r/o DKA, r/o MW Syndrome, r/o Pancreatitis 소견으로 내원하였으며, 입원 Imp 상 DKA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2 K85.99 경과기록 상 'Acute Pancreatitis로 IV hydration, 항생제' 기록 확인되고, 현병력에서 'CT 상 r/o Pancreatitis 소견 확인되어 입원함. Imp. r/o Pancreatitis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E11.64 'DM 과거력이 있는 환자로 8/14(입원 이전) 시행한 HbA1c 10.3%(정상 4.0~5.5%), 다뇨, 다음 및 피로감 심해져 sugar control 및 further evaluation and management 위해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30.9 입원 당일 시행한 Urinalysis Nitrite 2+, Urine Bacterial Cx 상 Escherichia coli >100,000 CFU/mL 및 경과기록 상 '8/20(HD#2) Urinary symptom(+) 있어 Cystitis에 대하여 항생제 투여 시작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I48.9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K 4.2mEq/L로 정상수치였으나, 6/28(HD#5) K 3.0mEq/L로 낮아졌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8 J90 입원 당일 Chest X-ray 상 특이 소견 없었으나, 7/1(HD#8) Chest X-ray 상 ‘Probable increased in amount of Rt. pleural effusion. otherwise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80.30 'Calculus of bile duct' 와 'cholangitis,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cholecystitis & CBD stone 과거력 있는 환자로 경과기록 상 ‘history of CBD stone, recurrent cholangitis s/p ERCP(5/4), s/p ERCP(5/6)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5.9 5/6(HD#3) 경과기록 상 ‘Acute hepatitis.HAV IgM(-). Hepatotonics’ 기록 확인되지만, Fever, Chills 주호소로 내원하여 응급실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상 AST/ALT 2545/1440U/L로 상승되어 있고, 입원 당시부터 항생제 및 고덱스, 우루사 투약 시작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25.1 6/26(HD#5) 경과기록 상 'Echo 상 EF 감소 및 RWMA 소견보여 시행한 CAG 상 RCA stenosis 보여 출혈 안정시 PCI 고려하기로 함. PeAF 및 CAD에 대해 apixaban 및 cilostazol 시작하여 bleeding 여부 관찰 필요함.’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48.9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5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K31.81 ‘Angiodysplasia of stomach and duodenum’ 와 'hemorrhage’을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6/23(HD#2) 경과기록 상 'EGD 상 ‘UGI bleeding d/t gastric angiodysplasia’ 기록 확인되며, 입원 당일 DRE melena(+), Hb 3.2g/dL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05.9 입원 2주전부터 전신위약 심화되며 섬망, 치매 증상 있었다고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L27.0 입원 당시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이 없었으며, 7/22(HD#31) 경과기록 상 ‘Whole body redness와 itching sense → DR consult 7/19부터 시작된 약제로 인한 drug eruption 으로 항생제 중단하고 경과관찰 중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7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8 E11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9 Y40.9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E11.48 'DM Type 2' 와 'neuropathy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경과기록 상 '고혈압, 2형 당뇨병, 위궤양을 진단받은 환자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7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83.8 7/22(HD#3) 수술 시 시행한 조직검사 결과지 상 ‘Ovary, left, oophorectomy: Free from tumor’,‘Fallopin tube, left, salpingectomy: Paratubal cyst’기록 확인되지만, 이는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3 N13.1 7/22(HD#3) 비뇨기과 수술 관찰 소견 상 'Radical hysterectomy 중 Rt. ureteral stricture 소견 관찰되어 co-op' 기록 확인되지만, 수술 전 Urine RBC Many, Urine WBC: 1-4로 혈뇨 소견 확인되며, 비뇨기과 협진기록 상 ‘수술 전에 이상소견 있었을 가능성 있음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1 R57.2 퇴원 시 최종진단이 r/o으로 기록되어 있으며, 내원 당시 Mental stupor, Desaturation 소견보여 r/o septic shock imp.하에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81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X-ray 상 ‘Prominent hydrostatic pulmonary edema’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96.09 Desaturation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, ‘intubation 후에도 saturation 80%대로 지속되었다’는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N17.9 ‘내원 시 Acidosis 소견 보였으며 입원 후 Urine output 유지되지 않고 Diuretics에 반응이 없고 Acidosis 악화소견 보여 CRRT 시행하였다’는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18.9 입원 전일 외래에서 시행한 Chest CT 상 ‘both lung의 Pneumonia, Pneumothorax 소견을 보여 이에 대한 further evaluation 위해 입원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93.9 입원 전일 외래에서 시행한 Chest CT 상 ‘both lung의 Pneumonia, Pneumothorax 소견을 보여 이에 대한 further evaluation 위해 입원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42 입원 당시 진단받지 않았지만 만성질환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3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Z86.1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K35.8 경과기록 상 '극심한 복통으로 내원하였고, 충수염으로 인한 증상임을 확인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A41.9 경과기록 상 '복강경하 충수절제술 흐 3일째에 발열, 빈맥, 백혈구 증가증, 저혈압 소견을 보여 결론적으로 패혈증 진단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35.0 입원 이전에 응급실에서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A41.9 12/25(HD#2)부터 BP drop (113/60 > 84/50 > 81/50 > 78/52 ), fever 39.0℃ 등 증상 발생하였고, 경과기록 상 '수술 후 Specific problem 없었음. 12/25부터 BP drop, Fever로 Septic shock 의심 하에 항생제 상승 및 Fluid 투여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R57.2 12/25(HD#2)부터 BP drop (113/60 > 84/50 > 81/50 > 78/52 ), fever 39.0℃ 등 증상 발생하였고, 경과기록 상 '수술 후 Specific problem 없었음. 12/25부터 BP drop, Fever로 Septic shock 의심 하에 항생제 상승 및 Fluid 투여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C25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R57.2 경과기록 상 '보존적 치료 중 5/14(HD#8) 오한, Septic shock에 의한 BP 저하가 있고, Acidosis 진행함.','Final Dx. Septic shock d/t Intrahepatic hematoma infection' 기록 확인되며, '5/14 Fever(+), Intrahepatic hematoma infection이 악화되면서 그때부터 Septic shock이 시작된 것으로 주치의 판단하여 재원 중 생긴 것으로 판단함.' 주치의 소견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P13.4 분만 중에 쇄골 골절이 발생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0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P03.1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Z38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J15.2 입원 당시 Chest X-ray 상 'suspected GGO and infiltrations in both lungs' 기록 확인되나 다른 검사결과 및 임상증상 기록 없이 경과 관찰 중, 10/28(HD#6)에 발생한 Fever 38.4℃, SpO2 90~100% 저하 소견으로 시행한 Chest X-ray 상 'suspected pneumonic consolidation in Lt lung with effusion' 기록 및 Sputum Cx 상 Staphylococcus aureus 동정되어 항생제를 변경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L89.0 경과기록 상 ‘입원 시부터 Stage 1 욕창 확인되어 Dressing 시행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A41.0 10/28(HD#6)에 Fever 38.4℃, BP 및 SpO2 90~100% 저하 소견으로 Rt. Pneumonia, r/o Sepsis에 준해 시행한 Sputum Cx 상 Staphylococcus aureus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O14.9 '내원 당일 외래에서 시행한 U/A 상 Protein 2+, SBP 140 이상으로 pre-eclampsia가 의심됨’ 기록 확인되며, 입원 당일 'Preeclampsia, Twin pregnancy, both breech presentation로 1/26 응급 C-sec 시행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2 O3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O32.1 태아의 둔부태위에 대한 산모관리를 나타내는 코드로 입원 당일 'Preeclampsia, Twin pregnancy, both breech presentation로 응급 C-sec 시행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4 O32.5 태아의 둔부태위에 대한 산모관리를 나타내는 코드로 입원 당일 'Preeclampsia, Twin pregnancy, both breech presentation로 응급 C-sec 시행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5 O84.2 분만방법과 유형을 나타내는 코드로 응급분만을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6 O60.12 조기자연진통을 나타내는 코드로 34+2weeks, Twin pregnancy 산모로 입원 당시 Labor pain으로 입원하여 응급 제왕절개로 분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7 O36.5 태아성장불량에 대한 산모관리를 나타내는 코드로 출생 시 1st baby 체중 2,220g, 2nd 체중 1,440g으로 저체중 소견 보였으나, 입원 당시부터 있었던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Y를 부여함
8 O99.0 입원 당일 혈액감사 상 Hb 11.9g/dL로 정상범위보단 낮았지만, 수술 1일 째 Hb 8.6g/dL로 급격하게 낮아짐. 경과기록 상 '수술 1일 째 혈액검사 상 빈혈소견 보여 Feroba(무기질제제)를 처방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9 D62 입원 당일 혈액감사 상 Hb 11.9g/dL로 정상범위보단 낮았지만, 수술 1일 째 Hb 8.6g/dL로 급격하게 낮아짐. 경과기록 상 '수술 1일 째 혈액검사 상 빈혈소견 보여 Feroba(무기질제제)를 처방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10 Z37.21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4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R57.2 입원 당시 ‘MAP 68, Cr 1.57mg/dL, Norepinephrine 처방으로 SOFA score 7점, Lactate 7.9mmol/L로 Septic shock 진단함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F05.9 내원 당일 Delirious mentality 가 있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는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96.00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여 내원 당시 SpO2 85% 확인되었으며, 경과기록 상 'ARF type 1으로 본원 응급실 내원하여 Intubation, Norepiniphrine 지속투여하며 ICU care 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50.1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O42.02 37+5wks 산모가 내원 15분 전 시작된 vaginal leakage와 배 뭉침으로 내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D27.0 입원 전 초음파 기록에서 Lt. ovarian cyst, r/o Rt. ovary cyst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80.0 이전 수술 내역 및 수술기록지에 ‘r/o Adenomyosis, Adhesion(+): Lt. pelvic wall and uterus’기록 확인됨. 이는 입원 후 새롭게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N99.4 이전 수술 내역 및 수술기록지에 ‘r/o Adenomyosis, Adhesion(+): Lt. pelvic wall and uterus’기록 확인됨. 이는 입원 후 새롭게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D62 입원 전(10/12) Hb 14.7g/dL에서 10/29(HD#3) 8.6g/dL으로 저하 및 ‘EBL: 500cc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72.01 Acute and subacute hepatic failure’ 와 ‘coma’ 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급성 간부전은 입원 시부터 존재하였으나, 혼수는 입원 시 신경학적 검사 상 Mental alert, GCS (E3+M4+V6)로 Coma 확인되지 않음. 3.16.(HD#2) 경과기록 상 ‘환아 irritability 증가함. Hepatic encephalopathy’ 기록 확인되며 3.19.(HD#5) GCS (E1+M1+VE) 로 Coma 상태 확인됨에 따라 혼수는 입원 후 발생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 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N17.9 입원기록 상 ‘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 상 acute liver failure, acute kidney injury 소견 보여 CRRT 및 V/S close obs. 위하여 PICU 입실함.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43.2 수술한 상처 부위의 근육이 벌어지며 생기는 탈장으로 입원 당일 시행한 Liver CT 상 관련 소견 없었으나, 3.19.(HD#5) LDLT 이후 4.15.(HD#28) 에 시행한 CT Liver+Pelvis 3D 상 ‘Incisional hernia at superior-umbilical area with small bowel herniation’소견 확인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' 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40.20 좌측 서혜부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로 입원 당일 초음파 검사(11/15)상 Lt. indirect inguinal hernia 진단 받고 수술시행 하였으나 수술 중 양쪽성을 진단받아 inguinal hernia, bilateral 수술 시행하였음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2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S42.230 ‘Fx. proximal humerus Lt. 진단 하 입원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35.8 ‘외래 진료 후 r/o appendicitis로 수술위해 입원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76.88 입원 당일 시행한 Blood Cx 상 Raoultella planticola 동정되었으며, 입원 당일부터 CRP 102.1mg/dL로 상승됨. 5/12(HD#7) 시행한 A-P CT 상 ‘superimposed infection underlying intrahepatic and subcapsular hematomas’ 확인되었지만 복강 내 감염 외 다른 원인을 시사하는 소견이 없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 *입원 시부터 간내혈종감염이 있어 항생제를 사용했고, Cx를 시행했다는 주치의 소견은 확인되나 POA 판단을 위해서는 기록이 필수적임
1 N390 입원 당시 관련 증상과 임상 소견 기록 확인되지 않으며, 입원 당일 Urine WBC 0-1/HPF로 정상수치였음. 경과기록 상 8/3 하복부 불편감, 야간뇨, 빈뇨, U/A상 WBC 20~29로 비뇨기과 협진 실시하여 UTI 진단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J90 Cough, Sputum(벽돌색)으로 7/24(HD#3) 시행한 HR CT 상 'Pleural effusion' 기록 확인되지만, Cough, Sputum 지속되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80.31 'Calculus of bile duct' 와 'cholangitis', 'obstruction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경과기록 상 'r/o Cholangtitis w/CBD stone, r/o CCC. s/p ERCP c CLSO insertion(21.5.19.). s/p ERCP c CBD stone removal + CBD stent insertion(21.5.21.)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A41.9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며, 5/28(HD#11)에 Sepsis 진단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N18.3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J90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X-ray 상 ‘Lt Pleural effusion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I50.08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18.5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9 U82.80 입원 전 시행한 Wound Cx 상 Staphylococcus heamolyticus(MRCNS) 동정되어 Teicoplanin 처방하여 투약 지속하다 10/30(HD#22)에 시행한 Wound Cx 상 Klebsiella pneumoniae(CRE) 소견으로 Septrin 투약 추가 및 접촉격리 시행함. 입원 당시에 Wound Cx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Klebsiella pneumoniae(CRE)가 입원 당시에 존재했는지의 여부를 임상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6’에 근거하여 POA는 W를 부여함
10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32.5 3/21 Fetal USG상 twin, 2nd baby breech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J18.9 경과기록상 수술 후 11/16부터 DOE 있으면서 Spo2 95~98% 확인됨. 11/18 chest PA 상 Pneumonia 소견임. 이는 입원 시 존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4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R50.99 Fever 주호소로 입원하였으며, r/o pneumonia 진단 하 항생제 투약하며 치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A15.91 Fever 주호소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하였으며 8/5 (HD#15)에 시행한 Sputum Cx상 ‘M.tuberculosis (TB): Detected’ 결과 확인되었으나 상환 Bronchiectasis, pneumonia, CVA(pontine infarction), Dementia 병력 가지고 있으며 고령 및 면역저하 상태로 결핵의 경우는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‘POA 코딩원칙 2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R68.8 Fever 주호소로 입원하였으며, r/o pneumonia 진단 하 항생제 투약하며 치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H35.36 입원초진기록지 상 “(OS) ERM cat”으로 진단받아 수술적 치료 위해 입원하여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M75.1 퇴원 시 최종진단이 r/o으로 기록되어 있으며, 입원 중 시행한 MRI 상 'Rule out, Rotator cuff tear, shoulder, right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이전부터 오른쪽 어깨가 시리고, 열감과 발적있어 입원하였으며, 입원 기록의 Imp 상 Pyogenic arthritis, shoulder region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14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40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T81.4 경과기록 상 '수술 후 Fever 39℃ 이상 3일간 지속되어 전립선증식증과 수술 후 감염(의증) 최종진단 하 항생제 치료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Y83.6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H25.81 입원초진기록지 상 “(OS) ERM cat”으로 진단받아 수술적 치료 위해 입원하여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H33.39 수술 기록상 수술 중 확인되었지만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H25.91 좌안 시력 저하로 입원 전 안과적 검사를 토대로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T81.2 입원 시 존재하지 않은 상태이고, 수술 기록상 ‘PC rupture’ 확인되어 수술 중 비의도적으로 발생한 상태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4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Y6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J35.0 현병력 상 “내원 수년전부터 편도결석이 반복되어 Tonsilectomy 수술위해 입원함” 기록 확인되며, 만성질환으로 ‘POA 코딩원칙 3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D10.5 수술기록지 상 2021.12.8.(HOD#2) 수술 중 Oropharyngeal mass가 발견되어 진단되었으나,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2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E87.2 입원 당일 ABGA 상 pH 7.328, PCO2 12.7mmHg, PO2 127.3mmHg, HCO3 6.5mmHg, BE -17.7이었으며, 입원 당일 기록 상 'Adm to Nephro d/t r/o Urosepsis & r/o AKI & Severe metabolic acidosis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D69.3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PLT 124×10^3/uL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F05.9 12/1(HD#9) ‘소리 지르며 엉뚱한 말하거나 침대를 내려오려는 등 섬망 증세 있음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T84.8 섬망 증상으로 인한 움직임 등으로 ‘수술부위 고정되지 않아 재골절’ 및 ‘12/2(HD#10) Metal failure 진단하에 Revision ORIF ? LCP humerus Lt & Implant removal humerus Lt.’기록 확인되며, 정형외과 수술 후 삽입물에 의해 발생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5 W19.9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S72.090 ‘4/25 집에서 넘어진 후 Rt. inguinal pain, tenderness, swelling으로 응급실 방문하여 Fx. neck of femur, closed 진단 후 입원함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26.9 입원 당일 시행한 CT에서 ‘pulmonary thromboembolism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1.6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AST/ALT 33/21U/L로 정상이었으나, 입원하여 Ulcerative colitis 약 복용 이후 7/26(HD#5) AST/ALT 513/328U/L로 급격히 상승하여 소론도 복용 지속 가능 여부 협진 의뢰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K76.0 입원 당일 A-P CT 상 ‘Fatty liver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E11.10 ‘DM Type 2’와 ‘ketoacidosis’을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DM 과거력 있는 환자로 DKA로 insulin 치료중인 분으로 DKA에 관한 치료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26.9 입원 당일 SpO2 97%로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나, 7/22(HD#5) SpO2 76~80% 확인되어 시행한 Chest CT 상 'Pulmonary thromboembolism in BUL PA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J90 입원 당일 Chest X- ray 상 특이소견 없었으나, 7/20(HD#3) Chest X-ray 상 ‘r/o both pleural effusion’, 7/22(HD#5) Chest CT 상 ‘Moderate amount of both pleural effusions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J96.01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입원하여 당일 시행한 Chest Dynamic CT 에서 ‘Nonspecific focal pneumonia’로 진단하였고, COPD 악화로 O2 고용량 투여로 인해 급성 호흡부전이 생겨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O32.1 3/21 Fetal USG상 twin, 2nd baby breech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36.5 34+5wks에 IUGR 진단된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60.12 경과기록 내 ‘입원 시 labor pain(+)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O68.1 수술기록에서 ‘Amniotic fluid: meconium, 태변착색: 유(1st, 2nd baby whole body)’확인됨. ‘meconium’은 입원 전 진단이 어렵고 발생시점을 임상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6’에 근거하여 POA는 W를 부여함
6 O84.2 입원 목적이 C/S이었고 제왕절개를 통해 twin 분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O3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8 Z37.21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I50.1 'Pulmonary oedema' 와 'heart disease NOS or heart failure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HF 과거력 있는 환자로 입원 전(2/6) 응급실에서 시행한 Chest X-ray 상 'Pulmonary edema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90 입원 전(2/6) 응급실에서 시행한 Chest X-ray 상 'bilateral pleural effusion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48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G30.1 ‘알츠하이머 치매’를 나타내는 코드로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00.1 ‘알츠하이머 치매’를 나타내는 코드로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10.0 'Pneumonia'와 'Influenza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응급실 내원 시 PO2 62.5, tachypnea, Chest X-ray 상 'Pneumonia in both lungs', 호흡기 Virus 14종 PCR 상 Influenza A(+)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33.9 입원초진기록상 ‘IMP) CL 2.57cm, obesity 33.2kg/m2, Large BPD’, Sono 검사상 ‘BPD: 9.93cm’ 확인되어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1.0 경과기록상 ‘6/7 CPD로 유도분만 실패하여 제왕절개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O82.1 입원초진기록상 유도분만 시도 및 prn. Em)C/S 계획 하에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Z35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 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 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34.22 입원기록상 prev C/S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36.6 입원 전 시행한 초음파상 LGA(Large for gestational age) 소견 없으나 출생 시 체중 4.07kg으로 재태기간 대비 과다성장은 입원 당시부터 있어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24.4 입원초진기록상 ‘GDM insulin(Novorapid), 본원 f/u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82.0 입원의 사유가 되는 진단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 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N83.1 수술기록 내 ‘수술 중 난소 낭종을 발견하여 우측 난소 낭종 부분절제 시행함’, ‘골반강 내 dirty fluid가 200cc 고임’기록 확인되어 입원 후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N73.9 수술기록 내 ‘수술 중 난소 낭종을 발견하여 우측 난소 낭종 부분절제 시행함’, ‘골반강 내 dirty fluid가 200cc 고임’기록 확인되어 입원 후 발생된 질환이 아닌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R33 경과기록 상 'Urinary retention. Foley insert. Harnal, Hinechol' 및 Urine output 기록 상 '5/18(입원 당일) ~ 5/19: 800cc(foley)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51.9 최근 2주 전부터 점액질 양상의 Hematochezia 증상 있었으며, 입원 당일 A-P CT 상 'corresponding findings of UC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C20 6/28(HD#5) 시행한 Sigmoidoscopy c Bx 상 'Adenocarcinoma, moderately differentiated' 확인되었지만, 6/25(HD#2) 경과기록 상 r/o rectal cancer or adenoma → sigmoidoscopy (6/28)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C79.5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T85.6 10.29. pigtail insertion을 시행하였고, 10.29. 경과기록 상 ‘Procedure 이후 Hb 감소 및 marginal BP, bloody oozing 있음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' 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5 Y84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C34.10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전 10.4. 호흡곤란 증상 악화되어 ER 내원하여 시행한 chest CT 상 ‘r/o lung cancer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, Patchy consolidation and GGO in the LLL and Lt. lingula’소견 확인되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C77.1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전 10.4. 호흡곤란 증상 악화되어 ER 내원하여 시행한 chest CT 상 ‘r/o lung cancer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, Patchy consolidation and GGO in the LLL and Lt. lingula’소견 확인되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C78.2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전 10.4. 호흡곤란 증상 악화되어 ER 내원하여 시행한 chest CT 상 ‘r/o lung cancer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, Patchy consolidation and GGO in the LLL and Lt. lingula’소견 확인되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J18.9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, 입원 시 호흡곤란 증상 있었으며 입원 전 10.4. 시행한 chest CT 상 ‘Pneumonia, likely’확인되어 r/o CAP로 ceftriaxone + azithromycin 치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D01.53 입원기록지에 Adenoma of ampulla of vater, chronic pancreatitis 로 s/p APC, ERPD 하며 opd f/u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85.80 입원 당시 복통으로 응급실 통해 입원하였고 입원 당일에는 Amylase 및 Lipase 검사결과가 존재하지 않고, 8/10일(#HD 2)에 Amylase 및 Lipase 수치가 각 344U/L, 524U/L로 확인되며 입원 경과 기록에 chronic pancreatitis에서 acute pancreatitis이 발병한 경우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72.9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4.44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80.51 ‘Calculus of bile duct without cholangitis or cholecystitis’ 와 ‘obstruction’ 을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입원 이전 IHD stones & GB stone 으로 PTCS 등 시술치료 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S06.50 응급실 기록 상 ‘12.26. 새벽 응급실 침대에서 fall down 으로 두부손상 발생하였고, 신경외과 협진 결과 Hemorrhage 증가하지 않아 내과적 치료 위해 소화기내과로 입원 결정’ 기록 확인됨. 입원 이전 응급실에서 발생한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W06.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K35.3 abdomens pain 주 호소로 내원하여 입원 당일 검사한‘Abdomen&Pelvis CT (11.11.) 에서 Enlarged size of the appendix’ 기록 확인되어 수술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95.9 입원 당시 Normal BP 이었으나 '내원 4시간 전 SBP 70대로 Midodrine HCl 복용했다고 함.' 기록 확인되고, 주호소인 Altered mental status는 저혈압의 소견으로 볼 수 있으며, 경과기록 상 'Low BP로 인한 syncope 가능성 있음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R56.8 입원 당시 존재하고 있는 증상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N10 입원 전부터 발열과 leukocytosis, CRP 7.8mg/dL에서 9.0mg/dL으로 elevation된 소견보여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B37.0 퇴원요약지 외에는 기재가 없었으므로 입원 전부터 상병이 있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음. 입원기록 상 기재사항이 없다는 점과 11/14(HD#3) 부터 항진균제가 투약이 시작된 사유 확인이 필요하여 의사에게 임상적으로 입원당시 존재 여부에 대해 질의하였고 중간에 발생했다는 답변에 근거하여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를 부여함
1 J12.88 입원 3일전부터 콧물 ,기침, 열, 섭취량 감소하여 외래 진료 후 상세불명의 폐렴 진단 하에 입원하였으며,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X-ray 상 'No active parenchymal lesions on both lungs. Heart is not enlarged.' 외 특이 소견 없었음. 7/28(HD#6) 결과 판독된 호흡기 virus 15종, PCR 상 'Rhino A virus, Enterovirus가 positive' 기록 확인되었으나,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소견으로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B97.1 입원 3일전부터 콧물 ,기침, 열, 섭취량 감소하여 외래 진료 후 상세불명의 폐렴 진단 하에 입원하였으며,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X-ray 상 'No active parenchymal lesions on both lungs. Heart is not enlarged.' 외 특이 소견 없었음. 7/28(HD#6) 결과 판독된 호흡기 virus 15종, PCR 상 'Rhino A virus, Enterovirus가 positive' 기록 확인되었으나,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소견으로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B97.8 입원 3일전부터 콧물 ,기침, 열, 섭취량 감소하여 외래 진료 후 상세불명의 폐렴 진단 하에 입원하였으며,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X-ray 상 'No active parenchymal lesions on both lungs. Heart is not enlarged.' 외 특이 소견 없었음. 7/28(HD#6) 결과 판독된 호흡기 virus 15종, PCR 상 'Rhino A virus, Enterovirus가 positive' 기록 확인되었으나,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소견으로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H66.91 중이염에서 양측, 급만성 병태 모두를 포함하고 있고, 입원 당시 고열 증상으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을 부여함
1 L89.2 입원 중에 새로운 궤양이 발생한 것이 아니고 발뒤꿈치의 StageⅡ 욕창에 대해 보존적인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Z86.7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E11.64 DM 과거력 있는 환자로 입원 당일 glucose 474mg/dl로 상승되어 있고, 경과 기록 상 '입원 시 BST 591으로 인슐림 조절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8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18.5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E03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05.39 입원 당시 진단받지 않았지만 만성질환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3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E14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N39.0 7/19(HD#2) A-P CT 상 'UTI, including left pyelitis, ureteritisand probable cystitis' 기록 확인되나, 입원 당일 fever 39.2℃, Urine WBC>50/HPF,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10 7/19(HD#2) A-P CT 상 'UTI, including left pyelitis, ureteritisand probable cystitis' 기록 확인되나, 입원 당일 fever 39.2℃, Urine WBC>50/HPF,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F63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F25.0 환청, 환각으로 입원 당시 ‘Imp. Schizoaffective disorder, bipolar type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F05.9 입원 중 졸림, talkative 증상은 있었지만, 3/10(HD#17) 경과기록 상 ‘oversedation(+), delirious한 모습보임. R/O delirium→Valproate, quetiapine 우선 감량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81.0 경과기록 상 'Lt. side weakness, 허리통증으로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A-P CT 상 Acute Cholecystitis 확인되어 응급 PTGBD 시행 후 퇴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F05.8 입원 당시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이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'11/15(HD#3) 섬망 증상 있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후 Seroquel 12.5mg 투약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E87.1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Na 126mEq/L, Osmolality 267mOsm/kg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K 4.2mEq/L 로 정상 수치였으나, 11/15(HD#3) K 3.3mEq/L로 낮아짐. 이후 전해질 Replacement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J18.9 입원 당시 시행한 Chest X-ray 상 'Pneumonia in the left lung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C46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90 입원 당시 Chest X-ray 상 관련 소견 없었으나, 11/13(HD#36) 시행한 Chest CT 상 'Increased left pleural effusion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D70.0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ANC 638/Ul로 낮았으며, Fever 39.8℃로 Neutropenic fever Imp 하에 입원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05.9 입원 당시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이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11/10(HD#33) ‘환자 P/Ex, 문진 결과 방 안에서 누군가를 봤다는 등, 싸워서 해결해야 한다고 하며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말하고 r/o Hallucination 소견 보여 11/11(HD#34) 정신건강의학과 협의진료 시행하여 Haloperidol 1.5mg 처방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T81.4 Angiosarcoma로 incisional biopsy 한 과거력 있으며, 입원 당시 Fever 39.8℃, 외관 상 Wound infection이 의심되었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Y83.6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8 B96.1 입원 전 시행한 Wound Cx 상 Staphylococcus heamolyticus(MRCNS) 동정되어 Teicoplanin 처방하여 투약 지속하다 10/30(HD#22)에 시행한 Wound Cx 상 Klebsiella pneumoniae(CRE) 소견으로 Septrin 투약 추가 및 접촉격리 시행함. 입원 당시에 Wound Cx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Klebsiella pneumoniae(CRE)가 입원 당시에 존재했는지의 여부를 임상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6’에 근거하여 POA는 W를 부여함
1 C24.0 5/25(HD#8) 시행한 ERCP c ERBD exchange + biopsy 상 ‘Adenocarcinoma, poorly differentiated, clinically hilar extrahepatic Cholaniocarcinoma’ 기록 확인되지만, 주호소인 황달과 입원 당일 시행한 CEA 4.04, CA19-9 > 140000.00로 상승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2.0 진통 있어 입원하였고, NSVD 계획하에 분만 시도하였으나 arrested descent & dilatition relater P position으로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 는 N을 부여함
5 B37.0 입원기록지 상‘Oral ulcer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E11.9 DM 과거력이 있는 환자로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C78.2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C16.91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F05.8 퇴원 시 최종진단이 r/o으로 기록되어 있으며, 경과기록 상 ‘특이 정신과적 과거력 없는 환자였으나, 경과기록 상 2/23일부터 잠을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, 병실에서 용변을 보거나 붓칠을 하는 등 행동변화 있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후 Quetiapine(정신신경용제) 투약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O82.1 주호소‘for emergency C/S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69.1 7/26 USG 결과‘nuchal cord×1’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24.4 ‘임신성 당뇨’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D62 8/3 Hb 11.7→8/4 8.1g/dL로 Monofer injection 및 ‘EBL: 800ml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Z37.0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13 Nifedipine 복용에도 혈압조절 되지 않고 4/12 Proteinuria trace로 혈압조절 위해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43.2 수술 중‘placenta accreta’진단되었으나 이는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82.1 ‘필요 시 응급제왕절개 위해 입원함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72.1 수술 중‘EBL: 600ml’, ‘수술 당일 evening동안 bleeding 498ml → 이후 400ml 가량 추가로 왈칵 쏟아짐’기록 확인되어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5 O69.8 입원 전 4/8 sonography 검사결과에서 ‘nuchal cord(-)’확인 및 4/16 수술기록에서 ‘cord neck #2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O68.1 입원 당시 ‘PROM’,‘녹색 양수’ 및 수술기록의‘meconium stain++’기록 확인됨. ‘meconium stain’의 경우 입원 시 존재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61.0 ‘자연분만 희망하였으나 labor induction 실패로 C/S’ 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O82.1 ‘자연분만 희망하였으나 labor induction 실패로 C/S’ 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O42.92 39+1wks 산모가 양수 터져 내원 및 입원 시‘Nitrazin/ Amnisure +/+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35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 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J90 입원 당일 시행한 Chest CT 상 ‘Large amount of Rt. Pleural effusion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E11.22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08.3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05.9 입원 당시 관련된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며, 7/5(HD#12) 입원 치료 중 Delirium 소견보여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후 Seroquel 투약 시작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J44.10 COPD 과거력 있는 환자로 수술 후 급성 호흡곤란 동반한 것으로 보임. 이는 만성질환의 급성악화를 표현하는 상병으로 입원 시에 급성악화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N80.0 입원 전 21.9.24. 시행한 MRI 검사결과 상 ‘Compressed endometrium suggested’ 기록 확인되어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D64.9 입원 시 Hb 검사결과 미존재하며, 입원 전 외래(10/8) 검사 상 Hb 12.0g/dl로 Hb 정상수치의 경계선상에 존재함. 평소 생리양이 많다는 주호소 증상이 있어 Myomectomy 위해 입원한 것으로 POD #2 Hb 10.1g/dL에서 POD #3 Hb 8.7g/dL로 떨어진 것으로 보아 빈혈이 입원 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‘POA 코딩원칙 4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N73.6 수술기록지 상 ‘Omentum to Uterus adhension’ 기록이 확인되어 이는 입원 시에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Y83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Z03.8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P59.0 2.58kg으로 출생한 twin 중 첫째 환아로 의무기록상 출생 후 3일째 T. bil 검사 시행 후 진단받았으나 출생 후 일반적인 가벼운 신생아 황달로 ‘POA 코딩원칙 10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P07.32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P83.5 선천성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0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P03.4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5 Z38.3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14.2 최근에 체중이 6.5kg 증가하고 입원 당일 고혈압과 단백뇨 및 혈액검사 상 OT/PT 수치가 63/55로 정상수치보다 상승됨이 확인되어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82.1 입원 기록상 입원 시 체크한 V/S상에서 SBP 160~170 측정되어 imp. Pre-eclampsia, severe form, Fetal distress 진단 하 응급 C/sec 위해 입원함의 기록이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O60.31 입원 기록상 입원 시 체크한 V/S상에서 SBP 160~170 측정되어 imp. Pre-eclampsia, severe form, Fetal distress 진단 하 응급 C/sec 위해 입원함의 기록이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C18.1 수술 후 병리검사결과에서 입원 중 진단되었으나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35.2 ‘복통으로 내원하여 급성 충수염 진단 하 수술 위해 입원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10.9 ‘과거력: HTN, 고지질혈증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E78.5 ‘과거력: HTN, 고지질혈증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S72.120 HD#5(9/5)에 ‘보행 중 낙상으로 Rt. hip fracture’되었다는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K80.31 입원 전 찍은 CT(8/5)상 ‘distal CBD stone,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cholecystitis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4 W18.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I63.9 10/14(HD#8) 횡설수설하는 모습 보이고 당일 촬영한 3D CT Angio 상 ‘Lt. MCA inf. division distal occlusion’, 10/16(HD#10) Diffusion MRI 결과 ‘acute infarction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M41.96 입원 시 시행한 X-ray 검사결과 ‘scoliosis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M48.06 입원 시 시행한 X-ray 및 MR 검사결과 ‘stenosis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M51.2 입원 시 시행한 X-ray 및 MR 검사결과 'HIVD(Herniated Intra Vertebral Disc)’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F32.9 10/15(HD#9)에 ‘post stroke depression으로 lexapro 5mg 추가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L12.0 1주 전 발생한 몸통물집으로 타 병원에서 유사천포창 진단 받은 후 입원한 것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B37.0 ‘10/30(HD#17) 우측 볼 안쪽, 턱 아래쪽 및 혀가 붓고 빨개져 이비인후과 협진 시 r/o oral candidiasis로 디푸루칸 건조시럽 처방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I62.0 5/2(HD#2) CT 결과 ‘Suggest of large SDH along the left side(layered type, chronic stage’확인되었으며, 발생시점 기준으로 입원 시 존재하였다는 것이 명확한 상병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L89.1 입원초기평가에 욕창이 없었고 5/20(HD#20)과 5/30(HD#30) 각각 ‘Rt. pelvic과 Rt. hip에 발적, 삼출물 등 입원 후 발생한 욕창관련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N39.0 6/4(HD#35) ‘탁한 소변 관찰되어 요로감염으로 판단’기록 확인되므로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D25.9 타 병원 MRI 결과 및 ‘외래에서 시행한 USG에서 multiple myoma 소견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T81.2 ‘TAH 중 adhesion 심하여 Bladder dome 위치에 1.5cm 가량 injury로 Bladder repair 시행’하였다는 수술기록 확인되어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Y60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8 U82.2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‘fever 있어 culture 하였고, urine에서 ESBL(+), E.coli 나와 invanz 투여 후에 호전됨’ 기록 확인됨. 또한, 6/27 Fever 37.9℃, 6/28(HD#4) Urine Cx 결과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C53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S30.0 내원 당일부터 Coccyx pain 호소하였고, '본인 진술에 의하면 내원 당일 넘어졌다고 함.' 정형외과 협진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W19.9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6 J18.9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Chest X-ray 상 특이소견 없었으나, 7/22(HD#5) Chest CT 상 ‘Possible aspiration Pneumonia’ 기록 확인되어 IV anti 투약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S42.420 내원 시 Lt. elbow swelling 증상으로 시행한 Elbow x-ray 상 'Supracondy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T00.9 내원 시 Rt.leg laceration, both leg & Lt.forearm abrasion 확인되어 창상치료, 봉합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S81.9 내원 시 Rt.leg laceration, both leg & Lt.forearm abrasion 확인되어 창상치료, 봉합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I95.9 입원 당시 BP 100/80mmHg이나 환자상태(97세 고령, 전신 쇠약감 등)를 고려 시 낮은 혈압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, 9/4(HD#2)에 80/50mmHg로 저하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2 C22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E44.0 7/9(HD#2) 시행한 영양상태 평가 상 'Moderately Malnourished(PG-SGA score 14)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Albumin 3.0g/dl로 낮았으므로 '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K25.01 'Acute gastric ulcer' 와 'hemorrhage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경과기록 상 '7/12(HD#5) Hematemesis 100cc 가량 있어 7/13 EGD 시행하였고, Antrum과 body에 multiple active ulcer가 관찰되며, oozing bleeding & 다량의 hematin clot들이 관찰되는 소견임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7'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I71.3 ‘Abdominal aortic aneurysm’ 와 ‘ruptured’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‘복부 대동맥 동맥류’는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지만, ‘파열’은 입원 7일 째 발생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K70.3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2.9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F10.4 ‘섬망’ 과 ‘알코올의 금단상태’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Last alcohol이 입원 전날이므로 알코올 금단상태는 입원 당시부터 존재했을 수 있지만, 입원 시‘Mental Alert, 의사소통 원만함, 지남력 있음(시간, 장소, 사람)’기록에 근거하여 섬망은 입원 중 발생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므로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R31.8 4/13(HD#10) Hematuria로 비뇨기과 협진 시행하였으나, 입원 당일 Urine RBC 1-4/HPF, Urine Blood 1+ 로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I86.49 4/6(HD#3)에 시행한 EGD 상‘Gastric varices’소견 확인되었으나 Alcholic LC 과거력을 고려하였을 때 입원 이전부터 있었으나, 입원 중 검사에서 발견된 것으로 판단 가능하여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A16.51 2/15(HD#9) 시행한 Chest CT 상 'R/O TB pleurisy' 및 경과기록 상 'Effusion lab에서 r/o TB pleurisy 소견으로 TB medication 시작함.' 기록 확인되나, 입원 당시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I63.51 입원 당시 관련 증상 없었으나, 투석 중 BP down 및 mental change 발생하여 2/24(HD#18) 시행한 Brain-MRI 상 'Increase in extent of acute to subacute infarction in the left ACA territory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S22.05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39.0 경과기록 상 '1/8 Frequency Uria 및 배뇨통으로 비뇨기과 협진 하 r/o UTI(U/A pyuria+)로 항생제 치료함.' 기록 확인되고 1/8(HD#3) Urine WBC 10-19/HPF로 상승됨. 그러나 입원 당일 Urine WBC 50-99/HPF로 더 높은수치였으며, 입원 3일 째 다른 원인 없이 갑자기 발병하는 경우가 드문 질환의 특성으로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82.1 입원기록상 PA 36+2wks에 진통없이 vaginal bleeding으로 내원하였고 Emergency C-sec 계획 하에 입원 및 분만 한 기록 확인되어 이는 입원 시 존재한 상태로 ‘POA 코딩원칙 9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37.01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'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2 M19.01 DA shoulder Lt.. 진단 하 입원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A09.9 상복부 통증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내원하여 입원 당일 Abdomen X-ray 상 특이 소견없었음. Bowel rest 및 Hydration, Medication 하였고 증상 호전 없어 A-P CT 촬영하였으나 특이 소견 없었음. 그러나 입원 Imp. r/o Gastritis, r/o Ulcer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K 3.1mEq/L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65.2 Vertebroplasty(2019.12.) 이후 지속적인 두통 호소하여 신경외과 진료 시행하였고, 7/24(HD#4) 시행한 Brain MRI 상 'Lt. cavernous ICA stenosis' 기록 확인되어 Lipitor 20mg 투약하였으나 이는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K92.2 Hematemesis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17.9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BUN/Cr 211.1/7.44mg/dl로 상승되었으며, 경과기록 상 'Cr 상승소견에 대해 IV Hydration 및 Acidosis 교정하며 Supportive care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48.9 입원 당일 시행한 EKG 상 ‘Sinus tachycardia, otherwise normal EKG’, 7/8(HD#2)에 시행한 EKG 상 ‘A.fib, abnormal EKG’ 기록 확인됨. 이는 입원 중 환자의 내과적 상태변화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L89.2 입원 당일 Coccyx부위 Stage3의 sore확인하여 Dressing 시행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A41.9 입원 당시 '금일 Mental drowsy, Fever 있어 응급실 경유하여 UTI, Sepsis로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며, 당시 Fever 39.3℃, WBC 23.47 × 103 /㎕로 상승소견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39.0 입원 당시 '금일 Mental drowsy, Fever 있어 응급실 경유하여 UTI, Sepsis로 입원함.' 기록 및 '당시 Fever 39.3℃ 및 U/A에서 WBC 2+ 확인되어 UTI 진단으로 항생제(Meropenem) 투여함.' 기록 확인되며, 당일 시행한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B96.2 입원 당시 시행한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N18.9 입원 당시 진단받지 않았지만 만성질환이므로 ‘POA 코딩원칙 3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I48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I5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7 E87.0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Na 156mmol/L로 높았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8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9 E11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A41.9 입원 당일 진단되었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R57.2 입원 당일 진단되었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N39.0 입원 당일 Urine Cx 상 KPN(ESBL+) & PAE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U82.2 입원 당일 Urine Cx 상 KPN(ESBL+) & PAE 동정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D64.9 입원 당일 Hb 11.3g/dL 낮은 수치로 입원 기간 중에도 정상범위 보다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44.19 단일 진단코드가 만성병태의 급성악화를 표현하는 코드로 ‘만성폐쇄성폐질환’은 입원 이전에 진단된 상병이며, ‘급성악화’도 입원 당시 존재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48.9 2/22(HD#3) EKG 상 'Atrial fibrillation' 기록 확인되며, 입원 이전 Atrial fibrillation이 존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요인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N17.9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Cr 0.52mg/dL로 정상수치였으나, 2/21(HD#2) Cr 1.09mg/dL, 2/22(HD#3) Cr 2.50mg/dL으로 48시간 이내 0.3mg/dL 이상 증가되었음. 또한 경과기록 상 ‘2/22(HD#3) Cr elevation, urine output 감소 추세로 신장내과 협의진료 후 CRRT apply 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1 A41.9 입원 당일 Sepsis 진단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K75.0 6/25(HD#2) 경과 기록 상 ‘Liver abscess, 7cm, s/p PCD insertion (2021.6.24.)’로 입원 당일 진단 하 처치한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K80.31 'Calculus of bile duct' 와 'cholangitis', 'obstruction'를 나타내는 복합코드로 6/25(HD#2) 경과기록 상 'Acute cholangitis, obstruction of bile duct', ' s/p ERCP c ERBD exchange (6/25)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7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L89.3 경과기록 상 'Coccyx(Stage 4), Lt. malleous, Rt. heel Sore에 대해 11/20(HD#2) PS 협진 후 dressing 진행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R18 입원 당일 시행한 A-P CT 상 'Large amount ascites: newly development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2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18.9 입원 당시 Chest X-ray 및 CRP 상 특이소견 없었고, 8/18(HD#5)에 실시한 Chest X-ray 상 'r/o pneumonia and atelectasis', CRP 28.207mg/dL이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시 기침, 가래, 호흡곤란 증상 및 8/15(HD#2) Fever 38℃ 발생하면서 항생제 투약을 시작하였으므로,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E11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J18.9 입원 당시 발열과 가래량 증가, SpO2 90% 확인되었으며, 반복적인 폐렴으로 호흡기내과 입원 치료받았던 과거력 있음. 입원 당시 Chest X-ray 상 'Slight increase in extent of consolidation in the right lung.' 외 특이 소견 확인되지 않으나 당일부터 Tazocin, Levofloxacin을 투여함. 입원 중 진단되었지만 입원 당시부터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'POA 코딩원칙 2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A04.7 입원 당시 관련된 증상 및 임상 소견이 없으며, 항생제 사용 중 설사 증상으로 11/15(HD#6) GDH(C.difficile Ag), Toxin(C.difficile): Positive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B36.9 11/19(HD#10)에 해당 병변 확인되어 피부과 협진 시행하였으며, 입원 초진기록(11/10) 상 ‘신체검사: Skin [Normal]’, ‘간호기록 상(11/10~18) 욕창 없음’으로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Z93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T82.8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Y83.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N18.5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N17.9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Cr 0.5mg/dL로 borderline 이었으나, 5/26(HD#9) Cr 0.47mg/dL, 5/28(HD#11) Cr 2.13mg/dL로 2일 동안 1.66mg/dL 상승함. 또한, 5/28(HD#11) 신장내과 협진기록 상 ‘5/27부터 AKI 발생하여 자가 metformin 중단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5 E87.6 입원 당시 혈액검사 상 K 2.8mEq/L로 낮았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68.2 ‘OP finding: Thick 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 was noted’기록 확인되나, ‘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’의 경우 발생시점을 임상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고 판단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6’에 근거하여 POA는 W를 부여함
3 I10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63.9 입원 당시 Mental change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, Brain lesion 감별위해 당일 시행한 Brain MRI 상 'Multifocal acute infarction in right MCA territory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R56.8 '2일 전 보호자 방문하였을 때 Urination, Defecation 동반된 상태로 쓰러져 있었다고 함' 기록 및 Seizure 감별 위해 입원 당일 진행한 EEG 상 'Abnormal EEG, Suggestive of left hemispheric dysfunction' 기록 확인되어 12/8(HD#2) Valproate 투약 시작하였으므로 'POA 코딩원칙 1' 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N17.9 입원 전 Cr 1.7~1.9mg/dL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Cr 1.2mg/dL, 12/9(HD#3) Cr 1.3mg/dL으로 높지 않았음. 12/18(HD#12) Cr 2.0mg/dL 이후 12/21(HD#15) 4.5mg/dL로 급격하게 상승되었으므로 이는 만성 신부전에서 급성신부전이 발병한 경우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I31.3 입원 당일 Chest X-ray 상 'Cardiomegaly, suspiciously pericardial effusion, both lung edema, both pleural effusion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Z11.5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N17.9 응급실 내원 당시 혈액검사 상 BUN/Cr 72.3/11.39mg/dL, Dysuria 증상이 있었고, 입원 전인 4/12 Cr 0.69mg/dL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상승되었음. 또한, 경과기록 상 '응급실 내원당시 Cr 10대까지 elevation : foley catheter insertion, HD 시행 후 kidney function 호전됨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을 부여함
2 N40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26.9 4/28(HD#3) A-P CT 상 'Partial thrombosis of right lower pulmonary artery' 소견 확인되어 심장내과 협진의뢰하며 5/3(HD#5)부터 Anticoagulation인 Apixaban 투약하였으나, 응급실 내원 당시 BP 165/76mmHg, PR 114회/분, RR 18회/분, BT 37.2℃, SPO2 98%, 평소보다 악화된 Dyspnea 증상이 있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을 부여함
1 N17.8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BUN/Cr 68.6/6.48mg/Dl로 상승되었고, 경과기록 상 '좌측 하지의 봉와직염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 및 그로 인한 요독증 증상이 있으며 응급 투석 가능성 있어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N18.9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M17.1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L03.11 '최근 보름 전부터 온몸이 가렵고 좌측 다리에 부종 심하였으며, Both knee pain(Lt<< Rt), Both leg swelling(+)' 및 경과기록 상 '좌측 하지의 봉와직염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 및 그로인한 요독증 증상 있음 응급 투석 가능성 있어서 입원함.' 기록 확인되므로 'POA 코딩원칙 1'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42.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47.2 6/16(HD#8) 경과기록 상 ‘갑자기 HR 200대까지 올랐다가 recovery되고, 의식 회복된 상태에서 VT 2초 정도 발생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3 F05.9 경과기록 상 'Confused mentality, Irritable behavior로 정신건강의학과 협진, Delirium 진단 하 Loravan 0.5mg 약물 치료함.' 기록 확인되지만, 내원 당시 Alert, 당일 밤부터 Drowsy, confusion mental 양상 보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N39.0 6/14(HD#6)에 결과판독 된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>100.000 CFU/ml 확인되었지만, 입원 당일 Urine Cx 시행하였고, Fever 37.7℃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B96.2 6/14(HD#6)에 결과판독 된 Urine Cx 상 Escherichia coli >100.000 CFU/ml 확인되었지만, 입원 당일 Urine Cx 시행하였고, Fever 37.7℃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S32.020 7/28(HD#2) 시행한 L-spine MRI 상 'Acute compression Fx of L1'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전 Slip down으로 허리 통증 있어 내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W01.0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3 G30.9 경과기록 상 '요양등급 관련하여 치매검사 원하여 신경과 의뢰됨. MMSE 17점으로 경증치매 진단받고 도네페질 투약 시작함.' 기록 확인되지만, 환자 고령(89세)인점,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태생리학적 특성 고려할 때 입원 당시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F00.9 경과기록 상 '요양등급 관련하여 치매검사 원하여 신경과 의뢰됨. MMSE 17점으로 경증치매 진단받고 도네페질 투약 시작함.' 기록 확인되지만, 환자 고령(89세)인점,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태생리학적 특성 고려할 때 입원 당시 존재하였다고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I50.9 11/23(HD#5) New onset A. fib, Dyspnea 지속되어 시행한 Echo 상 HF 및 Severe AS, Moderate MR 소견 확인됨. 이는 질병 특성 상 입원 중 갑자기 발병했다고 보기 어렵고, 해당 질환이 주호소인 호흡곤란의 원인으로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I35.0 11/23(HD#5) New onset A. fib, Dyspnea 지속되어 시행한 Echo 상 HF 및 Severe AS, Moderate MR 소견 확인됨. 이는 질병 특성 상 입원 중 갑자기 발병했다고 보기 어렵고, 해당 질환이 주호소인 호흡곤란의 원인으로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34.0 11/23(HD#5) New onset A. fib, Dyspnea 지속되어 시행한 Echo 상 HF 및 Severe AS, Moderate MR 소견 확인됨. 이는 질병 특성 상 입원 중 갑자기 발병했다고 보기 어렵고, 해당 질환이 주호소인 호흡곤란의 원인으로 판단 가능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J18.9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여 입원 imp. CAP, AE COPD로 항생제 치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J44.19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여 입원 imp. CAP, AE COPD로 항생제 치료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R57.0 12/14(HD#26) 경과기록 상 ‘TAVI 시행 중 Cardiogenic shock 발생(ECMO 12/14-12/15)’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7 S74.0 1/6(HD#49) 경과기록 상 ‘ECMO removal 후 Lt. leg muscle hematoma 및 방사통으로 재활의학과 협진 하 시행한 EMG 상 Lt. Sciatic nerve injury 확인.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8 Y71.2 POA 예외코드에 해당하므로 ‘POA 코딩원칙 11’에 근거하여 POA는 E를 부여함
1 O41.1 경과기록 상 '내원 당시 39℃ 이상의 Fever로 Chorioamnionitis 의심되어 11/5(HD#2) 응급 제왕절개 수술 시행함. 수술 중 Greenish-yellowish amnionic fluid 확인됨. 기록 및 11/5(HD#2) Placenta 조직검사 상 'Acute Chorioamnionitis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82.1 내원 당시 Fever 39.7℃, CRP 103.2mg/L 상승소견 고열로 Chorioamnionitis 의심되어 11/5(HD#2) Emergency C-sec 시행하였으나, 입원 초진기록 상 PRN) C-sec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9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B48.5† ‘Pneumocystis jiroveci에 의한 폐렴’을 나타내는 검표(†)와 별표(*)코드이며, 복합코드로 1/24(HD#2) 시행한 A.pneumonia 4종 PCR 상 ‘Pneumocystis Juroveci PCR (+)’ 기록 확인되었으나 외래에서 시행한 Chest X-ray 상 Pneumonia 소견으로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J17.2* ‘Pneumocystis jiroveci에 의한 폐렴’을 나타내는 검표(†)와 별표(*)코드이며, 복합코드로 1/24(HD#2) 시행한 A.pneumonia 4종 PCR 상 ‘Pneumocystis Juroveci PCR (+)’ 기록 확인되었으나 외래에서 시행한 Chest X-ray 상 Pneumonia 소견으로 입원하였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8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J94.8 입원 당일 Chest X-ray 상 관련 임상 소견 없었으나, 2/20(HD#29) 시행한 Chest CT 상 ‘Newly appearing hydropneumothorax, Rt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4 C34.3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C78.7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6 C79.50 입원 이전에 진단받은 상병으로 ‘POA 코딩원칙 1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1 O88.2 6/27(HD#3) 시행한 Chest pulmonary angiogram CT 상 ‘Pulmonary thromboembolism’ 기록 확인되지만, 제왕절개 후 high BP,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D-dimer 1731.2ng/mL로 상승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2 O99.4 6/27(HD#3) 시행한 Chest pulmonary angiogram CT 상 ‘Pulmonary thromboembolism’ 기록 확인되지만, 제왕절개 후 high BP, Dyspnea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 입원 당일 혈액검사 상 D-dimer 1731.2ng/mL로 상승되었으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3 I60.9 6/28(HD#4) 시행한 Brain MRI 상 ‘diffuse thin SAHs in bilateral frontal vertex’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일 시행한 Brain CT 상 'r/o SAH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4 O99.3 6/28(HD#4) 시행한 Brain MRI 상 ‘diffuse thin SAHs in bilateral frontal vertex’ 기록 확인되지만, 입원 당일 시행한 Brain CT 상 'r/o SAH'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2’에 근거하여 POA는 Y를 부여함
5 G41.8 입원 당일 Seizure 증상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‘Seizure로 신경과 협진하여 뇌파검사하였고, 항전간제 투여하고 외래 경과관찰하기로 함’ 기록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6 O86.2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‘fever 있어 culture 하였고, urine에서 ESBL(+), E.coli 나와 invanz 투여 후에 호전됨’ 기록 확인됨. 또한, 6/27 Fever 37.9℃, 6/28(HD#4) Urine Cx 결과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7 B96.2 입원 당일 관련 증상 및 임상 소견 없었으며, 경과기록 상 ‘fever 있어 culture 하였고, urine에서 ESBL(+), E.coli 나와 invanz 투여 후에 호전됨’ 기록 확인됨. 또한, 6/27 Fever 37.9℃, 6/28(HD#4) Urine Cx 결과 확인되므로 ‘POA 코딩원칙 4’에 근거하여 POA는 N을 부여함

첨부파일

  • 8.사례1-8.pdf

전체메뉴

전체메뉴 닫기